초겨울 흩날리는 눈발처럼 어지러운 정계의 전망으로 올 해도 낙관할 수 없는 한 해다. 돌아보면 고단하고 불안했다. 마음을 추스르고 기로에 선 대한민국에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은 그래도 새로운 선택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2007년은 대한민국이 건립된 지 60년이 됐고, 1987년 6월 항쟁으로부터 이 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온 국민이 함께 해준지 20년이 되는 해다.

그리고 아픔과 치욕을 줬던 IMF 외환위기를 맞은 지 10년째 되는 해다. 2007년은 그런 의미에서 참으로 뜻 깊은 해다. 

그동안 대한민국은 많은 진보와 발전이 있었다. 산업화를 이뤄냈고, 국가부도 위기의 파고를 넘어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가진 나라가 됐다. 민주화도 괄목할 수준으로 나아가고 있다. 야당의 한 인사도 “참여정부는 민주주의를 정착시켰다”라고 인정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나라 중에서 대한민국이 제3세계의 모델이 되고 있다는 자부심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 우리가 어디서 어떻게 출발했는지, 또 무엇 때문에 왜 출발 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한 수구냉전세력들은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되돌리려하고 있다. 시대착오적 역사관, 평화관, 복지에 대한 관점에 대해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지난해 연말에 예산안을 통과시키면서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이 낸 4천500억원의 장애인 복지예산 가운데 60%삭감을 주장했다. 삭감주장보다도 그 이유가 문제다. 그 이유를 비생산적 지출이라고 규정했다.

지금 대한민국은 양극화와 분열, 작전권ㆍFTA 논란으로 갈라져 부유하고 있다. 대화와 토론을 통한 사회적 합의를 이뤄 반목과 갈등의 시대를 넘어 화합과 상생의 시대로 새롭게 도약해야만 한다. 정치는 국민의 불만소재를 파악하고 그 불만들을 해소시켜 나가는 것이 곧 대승적인 본질이다.

사람들은 과거가 아닌 미래에만 관심이 있다고 한다. 아무리 위대한 정치인도 역할이 다하면 대중에게 냉정하게 외면당하고 만다. 정치인은 과거에 관심이 있지만 대중은 미래에 관심이 있다.

처칠도 전쟁이 끝나자 대중의 외면을 받았다.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아버지 조지 부시는 사회주의를 문 닫게 하고, 독일을 통일시키고, 걸프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하지만 더 이상 미국인들은 그러한 과제들에 관심을 갖지 않으면서 그는 차갑게 버림받았다. 대중은 미래에만 관심이 있는데 ‘산업화’의 주역이니 ‘민주화’의 주역이란 말은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현명한 사람은 들으면 알고, 똑똑한 사람은 보면 아는데, 미련한 사람은 당해야 알고, 답답한 사람은 망해야 안다’고 한 조일현의원의 말이 생각난다.

총체적 갈등구조와 가라앉기만 하던 경제가 반등의 고삐를 잡아 챌 수 있을지가 다 올 한 해에 달렸다. 2007년은 대한민국 호(號)의 방향과 정책 대안을 놓고 이념(노선)·지역·세대가 부딪치는 새 분기점이 될 것이다.

총선이나 지방선거, 재·보궐 선거는 과거에 대한 평가지만 대선은 ‘미래를 위한 대중의 선택’이다.

미래 세력의 대통합으로 대한민국이 평화와 변혁으로 새로운 도약을 하는 정초(定礎·주춧돌)가 되는 2007년이 되길 희망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