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매일 ]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현장 의료공백이 커지는 가운데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확산일로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재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빈자리는 전임의와 교수들이 메워 외래 진료와 수술, 입원환자 관리, 야간당직 등을 도맡고 있다.

전임의들 사이에서 재개약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내달부터는 전임의들도 대거 의료현장을 떠나 ‘진짜’ 의료대란이 올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의료현장에서는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우려는 인력의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 주말 사이 응급실 ‘전화 뺑뺑이’를 돌던 80대 심정지 환자가 결국 사망하는 사례까지 발생하는가 하면 병원 이송에만 2시간가량 걸리는 사례도 발생하는 등 환자와 가족들의 불편과 피해도 쌓여가고 있다.

정부는 오는 29일을 전공의 복귀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해 조만간 집단행동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무더기 행정·사법처리가 진행될 가능성이 나온다. 전공의 집단행동이 전문의(펠로)로 번질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초강수’를 둔 것이다. 이는 3월부터는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해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이나 사법처리 절차에 들어간다는 것으로, 사실상의 ‘최후통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전공의들 사이에서 중재에 나섰던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분당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과 김종일 서울의대 교수협의회장이 사퇴를 선언, 중재를 통한 사퇴 해결도 어려워 보인다.

정부는 전공의들과 물밑 접촉을 하고 있다고 설명하지만, 사태 해결을 향한 제대로 된 논의는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계는 물론 정부 또한 이번 주가 그나마 사태를 원만히 풀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는 인식을 갖고 물밑 협상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 국민의 생존권이 위협받는 지금 가장 다급하고 절실한 과제는 환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국민을 중심에 두고 의정 양측 모두 해법을 강구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의료 시스템이 붕괴하는 파국만큼은 피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