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매일 ] 고속도로와 KTX, 국내선 비행기로는 빠르게 진화하는 국민의 교통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KTX는 서울과 부산을 1일 생활권으로 묶었지만, 그에 비례해 각 지역 권역별 교통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상황이다. 같은 충청권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시와 제천, 단양은 여전히 1일 생활권으로 묶기에는 무리가 있다. 대도시에 집중된 교통 인프라가 각 지역 권역별로 확산된다면 진정한 지방분권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 기대가 어느 정도 해소될 대안이 등장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전~세종~청주를 잇는 충청권광역철도사업(CTX)이 민간 자본을 투입하는 등 구체화 되고 있다. CTX 사업은 민간이 사업비의 50% 이상 부담하고 운영비를 100% 부담하기로 했다. 노선은 대전 출발지가 기존 반석역에서 대전정부청사로 변경돼 총연장은 기존 60.8㎞에서 67.8㎞로 연장된다. 차량은 당초 계획된 최고 시속 110㎞/h의 전동차에서 최고 180㎞/h의 GTX급 급행열차로 개선된다.

KTX 오송역에서 충북도청까지 이동시간은 기존 17분에서 13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청사~충북도청까지가 35분에서 31분으로, 대전청사에서 청주공항까지의 시간은 기존 86분(환승 1회)에서 53분 등으로 예상된다.

충북도는 당초 이 사업이 16년 소요될 것이라 했으나, 민간 자본의 투입과 함께 5년 정도 단축돼 2029년 착공, 2034년 개통할 수 있다고 밝혔다.

CTX가 개통되면 K-바이오스퀘어,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단, 오송 철도클러스터 국가산단 등 오송의 대형 사업 준공 시기와 맞물려 인구 유입과 기업 유치에 유리해져 충청권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사업이 완료되는 10여 년간 해당 지역 주민의 공사로 인한 불편을 어떻게 하면 최대한 줄일 것인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

10년은 결코 짧은 기간이 아니다. 급격한 인구 감소, 고령화 사회 등 10년 앞을 내다볼 수 없을 만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인식해, 공사 기간 10년을 감수하며 천문학적인 액수를 투자하는 CTX 사업에 시민들이 긍정적인 마음으로 기다릴 수 있는 대비책도 함께 세워야 한다. 결코 만만하지 않은 시간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