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등이 만나는 청와대 여야 영수회담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 정치에서 영수회담은 주로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과 야당 총재(現 대표)의 1:1 회담을 뜻하는 제한적인 의미의 단어로 대부분 쓰이고 있다. 과거 대통령이 여당 총재를 겸했던 사실이 현재 단어의 뜻이 이처럼 굳어진 이유이다.

하지만 참여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과 여당의 당수가 분리되는 게 일반화되면서 용어 사용이 조금 애매해졌는데 이렇게 되면 여당 대표와 야당 대표의 회동도 엄연히 '영수'끼리 진행되는 회담으로 봐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습적인 이유로 영수회담을 여당 대표와 야당 대표의 만남을 영수회담으로 칭하지 않고, 대통령과 야당 대표의 만남만을 영수회담으로 통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통령이 정치적 난국에 처할 때 야당의 총재들을 모아 회담하여 국정을 풀어가는 것이 역사적 관습으로 사용했다.

일단 문 대통령과 이 대표 간 1대1 회담이 될지, 여야 5당 대표가 모두 참석하는 형식이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어떤 형식이든 전제조건에 얽매이지 말고 국민을 위한 자리라면 하루속히 만나는 게 중요하다.

화급을 다투는 국정 현안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세에 따른 방역 위기, 백신 수급,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소상공인 지원, 부동산 등 경제, 한일 관계와 북핵 문제 등 외교안보, 차기 대선관리 등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현안이 한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이라도 코로나19와 폭염으로 온갖 고생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위해 정치권이 솔선해 나서야 하는 분위기다.

그런데 국민들은 이번에도 영수회담을 보는 시선을 곱지가 않다.

과거엔 영수회담을 정략적으로 악용하며 대통령은 정국 위기 돌파용으로, 야당 대표는 본인 위상 제고용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정치가들의 이런 모략적인 행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고 너무 많이 지켜보았다.

그러나 이제는 이런 구태 정치는 근절하고 정치적으로 서로 필요한 정책들을 협상해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

먼저 제일 야당의 이준석 대표가 회담 성사를 위한 전제조건을 달지 않겠다고 한 것은 바람직한 변화다. 물밑 논의에서도 이런 기조를 유지해 하루속히 회담이 열리도록 해야 한다. 회담 형식과 같은 사소한 문제 때문에 시간이 지연되거나 파국을 초래하는 비극은 없어야 한다. 반드시 회담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성과주의에 지나치게 집착해 회담 성사를 어렵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물이 있으면 좋겠지만, 일단 만나서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 자체도 중요하다. 첫 만남에서 결과물이 미진하면 바로 후속 만남을 만들어 추가로 회담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국민민들은 이번 영수회담에 대해 기대감을 갖고 있다

특히 60대인 문 대통령과 30대인 이 대표가 만나는 것 자체에도 주목해야 한다.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서 30대 야당 대표의 의견을 반영 참조할 계기가 된다.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나이 문화’, ‘꼰대문화’를 타파하고 세대 간 융화로 이어지는 상징성잇는 만남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국민들은 이번 영수회담을 기대하며 어둠속에 한줄기 빛이 되길 고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