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은 국민교육헌장선포 34주년이 되는 날이다. 68년12월5일 선포된 이 헌장은 당시 박정희대통령이 문교부장관에게 지시해 6개월만에 만들어진 교육장전이다.
“교육장전이 민족주체성확립에 기여할수 있도록하고 서구문화 도입에만 의존하지말고 우리 고유문화의 바탕위에서 새로운 민족관을 세우라”는 박대통령의 강조에따라 철학자인 박종홍교수가“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사명을 띠고 이땅에 태어났다”로 시작되는 국민교육헌장을 마련했다.
당시에는 행사때마다 낭독되고 모든 시험에 출제돼 외우지 못하는 학생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민교육헌장(이념연구)유공자 표창도 국민교육유공저포상으로 명칭을 바꾸더니 94년에는 교과서 뒷면에 수록되던 헌장내용을 빼고 95년부터는 성대하게 치르던 선포식기념식도 없애 버렸다.
뿐만아니라 헌장에 수식어가 많고“역사적사명을 띠고 이땅에 태어났다에서 사명을 띠고 태어나는 사람이없고” “나라의 발전이 나의 발전의 근본임을 깨달아”는“나의발전이 나라발전의 근본”으로 고쳐야한다는등등의 비판도 받고있다.
반면 “국민교육헌장은 우리시대에 잊혀질 수 없는 헌장”이라며“내용만으로볼때 문제가 있다는말도 많았으나 문장이 매끄럽고 문체에선 힘이 느껴진다”고 옹호하는이도 있다.그러나 지금 우리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문장의 내용보다도 일선 교육현장에서 얼마나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교육했느냐다.

그런데 부끄럽게도 우리 교육현장은 그렇지 못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국가의 미래가 젊은이에게 달려있고 교육이 국가백년대계라면서도 정책과 일선현장은 엇박자로 돌고있다.
그 한 예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있는 98년 발표한 대학입학제도 개선안과 초중등교육정상화 방안이다.당시로선 가히 혁명적이라할만큼 획기적이었던<교육비젼 2002-새 학교문화 창조>라는 대입제도개선안은 입시준비를위한 주입식 암기식교육에서 벗어나 21세기를 대비해 개성과 창조성을 기르는 교육이라 했지만 실제로는 비판만 받고있다.한가지만 잘하면 대학에 갈수있다던 기대가 희망사항으로 끝나면서 그렇게 믿은 학생들이 난감해하고있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일선의 보충수업과 자율학습도 폐지됐다가 다시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교육인적자원부의 설문조사에따르면 고교의 74%가 보충수업을 계획하고있다고 응답했다.학생들의 학력보충과 학부모 학생들의 요구때문이었음은 물론이다.안타깝게도 이상주 교육부총리는 국민의정부 첫교육부장관의 시책이 무너진 서울의 0시 수업현장을 둘러보기도했다.이는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을 없애겠다고 한 시책이 4년만에 폐기된 것을 의미하는것같아 여간 안타깝지 않다.
지난해 발표한 수준별수업과 선택과목확대를 골자로하는 7차 교육과정 역시 마찬가지다. 이 시책은 중학교사의 76.9%,고교교사의 84.8%가 <부정적으로 생각하고있고>중학교사의 58.3%.고교교사의 74.8%가 “시행시기를 늦춰야한다”고 보는것에서 여실히 드러나고있다.

어떤 정책이던 그 정책을 받아들일 여건이 마련돼 있어야 실효를 거둘수있다. 힘으로 밀어부친다면 실패할건 뻔하다.하물며 교육열 세계1위의 나라에서야.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좋은시책, 사명감있는 교사 관심은 갖되 냉정한 학부모가 삼위일체가 돼야한다. 그러자면 교육부가 공교육이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만들어야한다.

학생 한사람 과외비가 수십만원에 이르고 심지어 백만원도 넘는 풍토아래서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유럽 선진국의 예능계 과외비가 1년에 20만원 정도라는 것을 상기하면 우리는 잘못돼도 한참 잘못돼있다. 교육부가 없어져야 교육이 올바로 될것이라는 막말이나 지난해 열린 이민 유학박람회에 무려 4만5천명이 몰렸다는 얘기는 누가 뭐래도 서글픈 우리의 단면이다.
기성세대가 얼마나 잘못했으면 중고생의 52%가 돈이면 다 해결된다고 보겠는가. 교육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올바른생각과 행동을 하게 가르치는 일이다. 국민교육헌장선포일에 우리 모두가 깊이 반성할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