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매일]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절반 이상이 노인 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광역지자체도 17개 시·도 가운데 절반에 달하는 8곳이 초고령사회로 분류됐다. 저출산에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늘면서 생겨난 현상으로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고령 인구’가 전년보다 46만여명 늘어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비율은 매년 가파르게 높아지는 추세로 내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광역지자체 중 충북 등 8곳이 초고령사회, 나머지 9곳 중 세종(11%)을 제외한 대전 등 8곳은 고령사회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별 고령화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7년(2015∼2022)간 전국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연평균 0.677%포인트씩 높아졌다. 특히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51.6%(2022년)가 초고령사회로 농촌 소도시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세계 1위인 것도 거슬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우리나라의 66세 이상 노인 빈곤율을 회원국 중 가장 높은 40.4%로 발표했다. OECD 38개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유럽은 5%가 채 안 되는 국가가 즐비하고, 대표적인 노인국가 일본도 20.2%로 우리의 절반 수준이다.

OECD는 평균소득이 중위가구 가처분소득의 50% 미만이면 빈곤으로 분류한다. OECD가 국가별 노인 빈곤율을 공개하기 시작한 2009년 이래 한국은 15년째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노인 인구 1천만명 시대가 눈앞이다. 그런데도 경제대국이라는 한국 노인들의 삶은 팍팍하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 고용률은 36.2%로 OECD 회원국 평균(15%)의 2배를 넘겼다. 이들이 늙어서도 일손을 놓지 못하는 이유는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라고 한다.

일하는 노인을 꼭 나쁘게 볼 일은 아니다. 연금이 미흡한 노인에게 소득을 보충해 뿐 아니라 사회적 자존감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로 복지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