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훈 충북도의원

[충청매일] 하루가 멀다 하고 인구위기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2022년도 충북의 합계출산율은 0.87명, 출생아 수는 7천456명으로 전년도 대비 700여명이 줄어 전국에서 네 번째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저출산은 복합적인 사회문제의 결과물로 단기간에 해결될 사안이 아닌 만큼 ‘안전한 출산’이 담보되지 않는 현실에서 아이 낳기를 설득하기란 매우 비합리적인 것이 사실이다.

결혼 연령과 난임 증가에 따른 인공수정이 많아지며 임신과 분만과정에서 더 철저하고 특별한 치료를 요하는 고위험 산모와 고위험 신생아가 늘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1년도 기준 10년 전에 비해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2배 이상, 조산아 및 저체중아는 약 1.5배가 증가했다. 당연하게도 이에 대한 진료를 감당할 의료기관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충북에서 분만 출혈, 조산으로 인한 고위험 응급수술이나 인큐베이터 치료가 가능한 곳은 충북대학교병원뿐이다.

5명의 산부인과 의사와 교수의 365일 당직 시스템으로 버텨오던 위 병원조차도 최근 교수 한 명이 사직하며 야간진료와 수술에 파행을 빚게 되었고, 두 명이 정년퇴직을 앞둔 상황이다.

향후 개인산부인과에서 고난도 산부인과 수술을 해야 하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대전이나 서울, 경기의 큰 병원으로 옮겨가야 할 확률이 높다.

게다가 출생아 수를 고려하면 충북에 필요한 신생아 병상수가 50개 이상인데,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충북대병원 신생아집중치료센터가 그 절반인 25개 신생아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데 그치고 있다. 대전이 92개인 것과 비교하면 참담한 수준이다. 그야말로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의 사각지대인 셈이다.

‘아이 낳아 기르기 좋은 충북’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모들이 응급상황에서도 안심되는 의료환경에서 마음 놓고 분만하고, 태어난 아기가 상황에 맞는 의료서비스를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치료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야 한다.

고위험 응급산모 야간수술과 미숙아 통합 치료를 담당할 의료진 확보를 위해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당장에 어떠한 유인책을 활용할 수 있을지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타 지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신생아 중환자실 확대 조치를 취해야 함은 물론이다. 장기적으로 도내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돌볼 수 있는 의료계 지역인재를 키워 만성적인 인력 부족의 문제가 재발하지 않게 해야 한다.

부디 응급상황을 맞은 충북 고위험 산모·신생아가 갈 곳 없어 애태우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