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일본과의 정상화 정책이 첨단 기술 개발에 영향 줄 수 있어

방사광가속기

[충청매일 박근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제3자 변제’ 방식 해결을 통한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 노력이 충북에 설치되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사업에 차질을 가져오지나 않을까에 지역 사회의 관심이 크다.

19일 충북도에 따르면 방사광가속기 설치 사업은 문재인 전 대통령 집권시절인 지난 2020년 5월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청주시 오창읍 후기리를 선정하면서 시작됐다.

방사광가속기는 빛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가 자기장의 영향으로 휘어질 때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적외선’·‘가시광선’·‘자외선’·‘X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해 물질의 구조를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당시 방사광가속기 설치를 해야 하는 이유로 일본에 예속된 기술 극복 운동이 전개됐다. 2019년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 ‘불화 폴리이미드’·‘포토레지스트’·‘불화수소’ 등 반도체와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 제조 필수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대한민국 대법원의 강제노동 피해자에 대한 일본 기업 배상 결정에 대해 첨단 수출품목인 반도체와 스마트폰에 타격을 가해 항복을 받아내겠다는 책략이었다.

일본의 이 같은 통보에 문 전 대통령은 "더 이상 일본에지지 않겠다"며 기술에서의 ‘극일’을 천명했다.

기술 분야에서의 극일을 위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방사광가속기이고, 견고한 기반과 전국적인 최적의 접근성을 갖춘 지역으로 오창이 선정됐다.

앞으로 방사광가속기는 3가지 실험 기법을 통해 국가 전략 산업의 위상을 몇 단계 높이게 된다.

방사광가속기의 ‘소각산란법’은 직선의 광원이 물질을 투과하며 아주 작은 각도(소각)으로 진행 방향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해 물질의 결정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분석법을 통해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고분자 재료, 화장품, 신약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X-선 광전자분광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에 X-선을 조사하면 표면층의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로부터 원자의 화학적 상태와 구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활용 분야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이다.

‘X-선 흡수분광법’(XAFS)은 물질에 X-선을 쪼이면 전자가 X선을 흡수하고 다른 에너지 상태로 전이하는 현상으로부터 화학적 특성과 구조에 관한 정보를 얻는 분석기법이다. 활용분야는 2차전지, 태양전지, 수소촉매, 환경재료 등이다.

하지만, 1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이 사업을 통해 일본을 넘어서겠다는 대한민국 과학기술계의 의지가 자칫 흔들리지나 않을까하는 우려가 생겨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일본과 강제동원피해자 제3자 배상 방침을 정하면서 일본이 한국에 내렸던 3대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 방침을 거두겠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시장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을 결정하고, 상품이 발전하는 곳이어서 이제 불붙기 시작한 첨단 소재 분야 극일 노력이 위축될 수 있다.

오창방사광가속기 설치는 지난해부터 시작돼 오는 2027년 마무리된 뒤 2028년 운용에 들어간다. 지역 과학계가 제3자 대위변제 방식의 윤 대통령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방식이 어떻게 귀결될지에 관심을 높이고 있다.

박근주기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