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경재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지금은 인식이 많이 변했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지방공무원 중에는 중앙행정기관에서 근무해 보고 싶은 생각을 가진 이들이 많이 있었다. 필자도 그런 마음이 있어 공직 초창기 시절 인사팀과 협의해 중앙 부처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2007년 무렵 보건복지부에 파견 근무하던 시절이다. 당시 보건복지부에서는 일찌감치 미래 국가의 먹거리는 바이오산업이라고 판단하고 R&D, 임상 관련 제도와 바이오산업 육성방안 마련 등을 통해 미래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었다.

하지만 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과 완성된 제품으로 시장에 내놓는 데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산업적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바이오기업의 조속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 인허가 등 지원기관을 한 곳으로 자리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오송을 바이오산업의 허브 도시로 선택했다.

그 결과 오송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보건연구원 등 주요 국책기관이 집적됐고, 그 결과 보건의료 행정타운으로 자리잡고 있다. 

어떤 분야든 대동소이하겠지만, 연구와 개발, 제품화를 하려면 연구실과 함께 설비와 단지 등 물리적 공간과 장치가 필요하다. 바이오 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첨단의료단지법이라는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조성됐다.

첨단의료복합단지 기반을 조성한 이후에는 본격적인 제조 및 연구를 위한 산업용지도 필요하다. 이를 뒷받침하고자 바이오폴리스지구를 만들어 바이오기업을 입지하도록 했다.

특히, 국가바이오산업의 중핵도시임과 동시에 오송은 KTX 분기역이 지나가고, 청주국제공항이 15분 거리에 있어 외국기업들과 비지니스를 할 수 있도록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오송에서 한 시간 거리에는 660개의 외국기업이 자리해 같은 거리에 23만명의 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미 대한민국의 첨단산업을 육성하고자 대전과 연계한 과학 비즈니스 벨트 프로젝트의 기능지구로 역할을 부여받고 있는 곳이 바로 오송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볼 때 오송은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보고(寶庫)가 아닐 수가 없다. 

그러나 오송에도 안타까움이 있다. 경제자유구역 특별법으로 충북경제자유구역을 2013년부터 지정되어 국가발전을 견인하고 있는 오송이 2021년 용지분양이 모두 완료되어 부지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부지 추가조성을 위하여 인접한 강내면에 하이테크벨리를 만들어 추진하고있으나, 이 또한 용지 분양이 마무리됐다. 

현재 오송은 바이오관련사업, 우주항공 관련 기업, 이차전지 관련 기업 등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국가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그런데 산업용지가 모두 분양되어 이러한 중요기업이 올 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비근한 예로 글로벌 기업인 롯데바이오로직스도 결국 다른 지역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참으로 기막힌 일이 벌어지고 있다. 도민에게 이런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