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도심공동화문제로 도시의 문제를 재조명하는 토론회가 열리는가 하면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행사가 진행 중이다. 청주시에서는 도심공동화해소대책을 위한 도시정비기본계획안으로 재개발·재건축에 관련한 보도 자료를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도심공동화를 생소한 단어로 받아들이던 전문가들마저도 도심공동화해소대책위원회가 발표한 조사 자료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후속대책을 세우고 있다.

지난 1985~2006년까지 주공과 토지개발공사의 개발로 청주외곽지역에 15개 택지개발단지가 준공 입주했으며 수용인구는 28만5천명에 달했다. 입주인구의 절반 이상인 15만 정도는 옛도심에서 이주하고 나머지 인구 13만5천 정도는 충북도내의 시·군에서 입주한 것이다. 최근 발표된 충북도 인구가 150만에서 147만으로 감소됐다는 언론의 보도를 보더라도 다른 시·도에서 입주하기 보다는 충북도내의 인구이동현상으로 보는 것이 옳다 하겠다. 이는 그동안 충북에는 인구를 유입시킬 뚜렷한 발전이 없었다는 말이 된다. 이웃의 천안지역이 불과 10년 사이에 인구가 배로 늘어나 52만에 육박한 현상과 비교하면 충북은 그동안 바깥세상과는 담을 쌓고 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문제다. 

더욱 심각한 상황은 2007~2008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개발 중인 산남3지구와 성화1,2지구의 주택물량이 4만8천명의 인구수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머지 6개지구개발대상지구의 예상인구가 10만을 목표로 개발추진중이다. 그러나 청주시에서는 14만8천명을 수용할 택지개발을 서두르면서도 정작 인구를 유입시킬 기업체는 유치하지 못한 상태다. 결국에는 옛도심을 비롯한 노후주택에 사는 시민을 대상으로 아파트장사에만 신경 쓴 꼴이 돼 버린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소년교육에도 심각한 후유증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도심지역의 경우 초등학교 학생수가 1990년 평균 2천명이던 것이 2006년 현재는 300~400명 정도로 학교의 존폐가 거론되고 있지만, 택지개발지구의 초등학교는 학교당 적정학급인 35학급을 넘어서 55학급의 과밀현상을 보여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옛도심과 신도심의 양극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도심공동화 현상은 청주의 문제만은 아니다. 저 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주거환경의 변화로 아파트단지로의 인구이동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정부에서도 옛도심의 주거환경개선에 그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전남 광주와 충남 대전, 천안의 경우는 도심공동화를 대비하는 전담부서를 만들고 의회에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주민이 떠난 도시를 살리기 위한 이동인구의 U턴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주민이 꼭 찾아야하는 대형문화시설이나 관광시설과 쇼핑타운 등 주민편의시설을 만들고 행정기관을 이전해 이동인구의 유입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반면에 청주의 경우는 15년 전부터 인구이동현상의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인구감소로 동사무소를 통·폐합시키면서도 도심공동화의 심각성에 눈을 뜨지 못하고 택지개발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그 도시의 중심에 주요교통시설이 편리한 교통연계망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 상주인구의 편의를 무시하고 터미널을 통째로 외곽으로 옮겨버린 정책은 분명히 그 후속대책이 뒤따라야 함에도, 오늘까지도 주민의 불편보다는 터미널사업자의 사업성을 먼저 걱정하는 행정당국은 도심공동화문제를 다룰 부서조차 만들지 못하고 핑퐁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