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훈 충북도의원

지난해 겨울 월동중인 꿀벌 중 39만봉군, 78억마리가 폐사하거나 사라져 양봉농가들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기사를 미디어를 통해서 접하게 되었다.

충북도에서도 지난 겨울 5만1천26개의 벌통에서 꿀벌이 실종되어 도내 2천705곳의 양봉농가 중 804곳(29.7%)이 피해를 입었다.

꿀벌의 집단 실종은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이라 불리며, 이 현상은 2006년 11월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유럽, 남아프리카, 중국 등 전 세계 곳곳에서 꿀벌이 집단으로 사라지는 현상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2015년 하버드 공중보건대 연구팀이 국제학술지에 꿀벌이 사라지면 작물 생산량이 줄어 식량난과 영양 부족으로 한 해에 142만명 이상이 사망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꿀벌이 멸종하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진다는 경고는 더 이상 허언이 아니며, 꿀벌이 사라지는 문제는 단순히 양봉농가만의 문제가 아닌 인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꿀벌 집단 실종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농촌진흥청은 꿀벌의 실종 원인에 대해 2022년 4월 14일 꿀벌 피해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상기후, 해충, 온난화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즉, 꿀벌실종의 직접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했고,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도 아직은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올해 겨울이 시작되는 이 시기에 또 꿀벌들이 벌통에서 사라지고 있어 양봉농가들이 지난해에 입은 피해를 복구하기도 전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는 기사를 다시 접하게 되었다.

꿀벌의 원인 모를 집단 실종에 병충해로 인한 폐사까지 계속되면서 양봉 농가들의 시름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지난 12월 초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 월동피해, 정상 봉군 집중 관리로 극복’이라는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그러나 해당 보도자료에 대해서 전국의 양봉농가들은 꿀벌실종으로부터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 없이 꿀벌응애 방제만 독려하는 것과 지난 겨울 발생한 꿀벌실종 피해가 대부분 회복됐다는 분석에 대해서 정부의 꿀벌실종에 대한 피해 상황 조사와 대응 대책이 매우 미흡하다며 실망감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의 미흡한 대책과 달리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꿀벌실종으로 인한 양봉농가의 피해에 대해서 경영안정 지원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해 정부에 제출하거나, 월동 꿀벌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행정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등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충북도에서도 월동 꿀벌 피해 대책반을 구성해 내년 3월까지 운영하기로 하여 양봉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지난해 발생한 꿀벌실종과 꿀벌폐사로 양봉농가들이 입은 피해가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꿀벌실종과 폐사로 양봉업 존폐의 기로에 선 양봉농가들에게 특별자금을 지원해 주고, 꿀벌실종과 폐사를 자연재해에 준하여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대책을 강구 해야 한다. 또한 자치단체에서도 지역적 특성과 환경에 맞는 대책을 수립하고 양봉농가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