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역대 최다인 17만 명을 넘어서는 등 오미크론의 폭발적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에서 잇달아 방역 낙관론을 꺼내고 있다. 확진자는 전날에 비해 무려 7만여명이나 더 늘어났고 사망자도 99명이나 되는데 정부의 섣부른 낙관론이 국민들에게 방역에 대한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까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코로나19 위중증률과 사망률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정책도 큰 틀에서 개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보건 당국자들도 최근 “오미크론이 풍토병으로 변해 가는 과정이라 계절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 체계로의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 는 발언들을 내놓고 있다.

방역당국 스스로 주말이나 다음달 초쯤에는 하루 27만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는 데에도 방역 완화 가능성을 잇따라 언급하니 국민들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오히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정치적 셈법이 깔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델타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은 맞는 얘기다. 하지만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이 언제일지, 또 규모는 어느 정도 일지 아무도 모른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7일 “계절독감보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높아 계절독감처럼 관리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한바 있어 국민들의 혼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단계적 방역완화와 일상회복은 언젠가는 가야 할 길이지만 성급하게 이를 추진하다가는 일상회복이 오히려 늦어질 수밖에 없다. 50만명을 넘어선 재택치료자 관리,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되는 위중증 환자들을 위한 의료자원 확보, 백신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영·유아 감염 확산 방지 대책 등 여전히 보완할 부분이 많다. 지금은 경각심을 늦출 때가 아니다.

해외에서도 확진자 폭증세가 주춤하면서 코로나가 풍토병화할 기미를 보이는 나라가 생겨나고 있지만 그러한 추세를 일반화하기에는 아직 무리다.

또한 우리나라는 오미크론 변이의 본격적 확산이 최근들어 시작됐으며 유행주기의 정점이 언제가 될지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감염자의 위중증화율이 이전 유행주기에 비해 낮은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신규 확진자 수의 절대 규모가 훨씬 커져 의료체계의 부담은 다시 무거워지고 있다. 병원과 요양시설 집단감염과 가족간 감염이 늘어나는 것도 큰 문제다.

때문에 재택 격리 등 방역 조치 완화로 개개인의 역할이 중요한 상황에서 정부의 낙관 메시지는 독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정부가 오미크론 확산에 대하여 낙관적 메시지를 연발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자칫하면 코로나로 인한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