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국보·보물 건조물 221건 HBIM 적용

[충청매일 제휴/뉴시스] 문화재청이 올해부터 문화재 수리 의사결정 과정을 더 과학적·체계적으로 전환하고, 분산 관리되던 문화재 수리 이력을 하나의 3차원 유형으로 통합 관리한다.

문화재청은 이를 위해 HBIM(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구축하고, 오는 2025년까지 국보와 보물 건조물문화재 중 221건의 HBIM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HBIM은 건조물문화재의 3차원 형상정보뿐만 아니라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수리이력 등에 관한 ‘비형상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모델'로, 문화재 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다.

그동안 일반 건축분야의 설계·시공과정에서 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돼 왔으나, 문화재수리 분야에서는 정형화하기 어려운 점 때문에 거의 활용되지 못했다. BIM은 3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모델로 일반건축 분야에서 적용된다.

하지만 3차원 레이저 스캐닝과 컴퓨터 성능 등의 기술발달로 인해 BIM의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문화재청은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수리이력 정보까지 통합하기 위한 HBIM 시스템을 정부혁신 기조에 맞춰 건조물문화재의 유지관리 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HBIM이 구축되면 기존에는 확인하기 어렵던 건조물문화재 주요 구조부의 접합방법, 내부 구성부재의 형상 등을 3차원유형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부재별 재료정보, 수리이력(훼손원인, 수리주기, 수리방법) 등의 체계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앞으로 해당 문화재수리 시 과학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HBIM이 숭례문에 적용되면 조선 태조 때 지어져 여러 중창을 거친 역사적 연대는 물론 숭례문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대들보 등 주요 부재의 수종은 무엇인지, 언제 수리 또는 교체가 됐는지, 훼손원인과 수리방법은 어떠한 것이 사용됐는지 등에 대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설계도서, 사진 등과 같은 자료들도 서로 연결된다.

문화재청은 HBIM 정보를 외부에 공개·제공해 민간에서 이를 활용한 가상·증강현실, 3차원 입체 프린팅 등 문화재와 관련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 확산시킬 수 있게 할 계획이다. 1천100여종, 송곡도서관 300여종의 영화 DVD 대출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