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의 답은 ‘사람’이다. 도시는 인간의 정치, 경제, 사회적인 활동무대가 되는 장소이며, 인구 집중으로 비교적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을 지칭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이 물음에 자신 있게 답할 수 있는 시민이 몇 이나 될까? 이면도로를 가득 메운 자동차, 그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다니는 보행자, 특히, 어린이들. 과연 ‘도시정책 그 중 교통정책의 중심에 사람이 있는가’ 돌아보고자 한다.

약 5천년전 바퀴의 발명 이후 인류는 탈 것을 계속 발전시켜왔다. 산업혁명 시기 증기자동차가 발명되고, 20세기 초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소위 마이카 시대를 여는 등 자동차는 인류의 문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선 자동차로 인해 도시가 파괴되고 있다. 자동차는 도로, 주차장과 같은 공간을 요구해 사람을 위한 도시공간이 점점 사라져간다. 그럼에도 자동차는 더 많은 공간을 내 놓으라고 계속 요구한다.

최근까지 교통지체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를 확장하고, 신설하는 등의 교통시설 투자 정책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공급정책은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데 비해 더 많은 수요를 유발하게 되어 교통문제를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을 경험상 알 수 있다.

승용차 이동의 효율성 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효율성과 교통수단간 형평성 중심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승용차와 경쟁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을 위해 자전거, 보행, 전동킥보드 등과 같은 개인이동장치(Personal Mobility)와 대중교통 수단의 단절 없는 연계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질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도로는 자동차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모든 교통수단이 공평하게 이동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교통계획에 있어 자동차도 버스, 도시철도, 보행, 자전거, 개인이동장치 등과 같은 여러 교통수단 중에 하나로 봐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대중교통이 중심이 되는 도시개발(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