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를 볼모로 한 충북대학병원 파업이 57일째를 맞고 있다. 공익을 우선해야 할 충북대병원이 존재이유마저 망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도민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파업으로 인한 불편은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이 되고 있다. 이에 본보는 파업 장기화에 따른 병원의 현주소와 문제점 파업 장기화의 원인 분석, 해결 방안 등 충북대 병원사태를 긴급 해부한다. / 편집자

충북대병원이 전국 보건의료산업노조 산하 각 병원 가운데 최장기간의 파
업을 벌이고 있다.

더욱이 파업 두 달이 다 돼가는데도 타결의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도내 유일의 3차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지난해 40일간의 파업과 3개월여에 걸친 의약분업에 따른 의사들의 집단 진료 거부 등 모두 4개월여에 걸쳐 진료에 차질을 빚은 전력(?) 때문에 더욱 따가운 시선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 올 들어 57일째를 맞고 있는 파업까지 칠 때 지난해부터 무려 190여일에 걸쳐 진료차질을 빚고 있는 것이다.

이를 환자수로 환산해 보면 하루 평균 충북대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는 1천474명, 190여일 동안 무려 28만여명이 진료를 받지 못했거나 진료에 불편을 겪은 셈이다.

결국 28만여명이나 되는 환자들이 타 병원이나 서울, 충남 등의 3차 진료기관을 찾았다는 결론이다.

이에 따른 환자들의 제반비용과 함께 정신적인 피해 등을 따진다면 손실 금액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여기에 병원측은 지난해 파업에 따른 누적적자 147억원과 올 들어 파업에 따른 15억 이상의 손실을 발생, 전체 금전적 손실은 185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노사는 지난 1일까지 모두 24차례에 교섭을 벌였으나 노조측은 △2001 단협이행 △퇴직금누진제폐지는 타 국립대병원처럼 추후 논의 △파업관련 병원측의 무노동 무임금 철회 및 연·월차휴가 삭감부분에 대한 임금보전책 마련 △정규직 직원에 대한 타 국립대병원 수준의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병원측은 △오는 9월부터 퇴직금누진제 폐지 △노조측의 우선요구안과 관련, 병원측 제시 안을 조속 시행 △약 2.5% 정규직 임금인상 등을 주장하는 등 시각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즉 최대 쟁점인 퇴직금 누진제를 둘러싸고 대립하는 양상이지만 병원측으로는 구조개혁 차원에서 모든 공기업의 퇴직금누진제가 철폐되고 이것이 시행되지 않으면 재정불이익 등을 받게 되는 상황이므로 수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충북대병원 이사회는 7일 긴급이사회를 갖고 장기파업의 타결대책 등을 세웠으나 노사 양측의 양보 외에 뾰족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노조측은 오히려 지난 6일부터 김동호 병원장의 성실교섭의지가 없다는 이유로 병원장 퇴진을 요구하는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도민들은 이유야 어쨌든 병원이 파행운영되고 있는데 대해 비난과 함께 ‘차라리 병원을 없애라’는 극단적인 감정까지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사태가 계속된다면 노사 모두 도민들로부터 외면을 당한다는 사실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