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국제결혼의 급증과 외국인 근로자의 이주가 늘면서 이제 우리나라도 단일민족이라는 표현보다 다민족 국가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것 같은 시대에 살고 있다. 다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는 이제 좋든 싫든 필연이 됐다. 다문화 가정과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시급해졌다.

6일 통계청의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361명(2.0%) 감소한 1만8천79명이었다. 출생아 수는 2012년(2만2천908명) 정점을 찍은 뒤 6년 연속 줄어들면서 2008년(1만3천443명) 이후 최소를 기록했다. 반면에 국내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5%로 역대 최대였다. 출생아 1천명 중 55명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라는 얘기다. 나라의 전반적인 저출산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인이 외국인과 결혼한 다문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1천856건(8.5%) 증가한 2만3천773건이다. 국내 전체 혼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0.9%포인트 늘어난 9.2%였다. 2011년(9.3%) 이후 7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고 증가 폭은 2008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컸다. 다문화 혼인 비중이 커지는 것은 전체 혼인 건수가 줄어든 탓도 있지만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류열풍이 다시 불붙으면서 결혼이민자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다문화 가정이 늘면서 이들 자녀의 교육과 진로 등도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다문화 가정 초·중·고생은 2011년 3만8천명에서 2019년 13만7천여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올해 전체 학생 563만3천여명의 2.4%에 달하는 수치다. 농어촌 지역의 다문화 학생 비중은 더욱 심해 초등학교 한 학급의 30% 이상도 흔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우리 사회에는 아직 다문화 가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은 얼굴과 피부색이 다른 데서 오는 은근한 따돌림 등으로 힘들어 한다. 친구는 사귀기 어렵고 자연스레 학교생활에서 멀어져 간다. 결국 그들 중 일부는 정상적인 교육궤도에서 이탈한다. 초등학생 공교육 탈락률만 봐도 일반 학생은 0.06%인데 반해 다문화 학생은 10%나 된다.

한국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는데 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결혼 이주자나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 자녀 등은 당당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다. 이들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부터 버려야 한다. 무엇보다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이지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는 국민의 인식 전환이 중요하다.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좀 더 활발한 사회통합 교육이 요구된다. 아울러 다문화 청소년들이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자신감과 실력을 배양해 주는 맞춤형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다문화 가정의 사각지대 해소에 전력을 다해주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