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올해 66곳 농가 참여…지난해 수준
소득 감소·새끼오리 입식 후순위 등으로 꺼려

[충청매일 최영덕 기자] 충북에서 올겨울 오리 휴지기제에 참여하는 농가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를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처음 시행한 2017년보다 20곳 정도가 줄었다. 오리 농가들이 소득 감소와 새끼오리 입식 후순위 등을 이유로 꺼리면서다.

20일 충북도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내년 2월까지 오리 휴지기제에 참여하는 도내 농가는 모두 66곳이다.

전체 육용오리 사육 농가 119곳 가운데 55.5%가 참여했다. 지역별로는 음성 33곳, 진천 23곳, 청주 8곳, 영동 2곳이다. 이들 농가는 68만여마리의 오리 사육을 중단한다.

지난해 대상 농가 128곳 중 69곳(54%)이 참여한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2017년과 비교하면 다소 감소했다. 당시 135곳 중 86곳의 농가가 참여해 64%를 기록했다.

매년 보상금이 오르고 있지만 오리 휴지기제 참여 농가는 되레 감소한 것이다. 올해는 1마리당 873원의 보상금이 지급된다.

2018년 712원보다 22.6%(161원)이 올랐다. 2017년 510원과 비교하면 363원이 증가했다.

이는 보상금 지급이 오리를 사육하는 것보다 수익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농가가 오리를 키워 납품하는 수익금의 70~80% 수준으로 알려졌다.

새끼오리 입식이 미참여 농가에 밀리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대부분 농가는 오리 계열화사업자에 속해 있어 매년 3월께 이들로부터 새끼오리를 공급받는다. 참여 농가도 오리 휴지기제가 끝난 이때 새끼오리를 입식해야 한다. 하지만 계열화사업자는 일반 농가에 먼저 새끼오리를 공급해 참여 농가의 휴지 기간은 1~2개월이 더 늘어나는 실정이다.

오리를 농가에서 사서 육가공해 판매하는 계열화사업자가 대규모 사육 중단에 난색을 보이는 것도 요인이다. 사육 중단 농가가 증가하면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다.

이 같은 이유로 오리 휴지기제가 AI 예방에 효과가 있는데도 참여 농가는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충북은 2015년 이후 해마다 AI가 발생해 수백만 마리의 오리를 살처분 했다. 방역에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는 등 손실이 컸다.

하지만 오리 휴지기제를 도입하자 AI는 잠잠해졌다. 2017년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지난해는 3월 농가 1곳에서만 발생했다.

AI 발생에 따른 예산 투입도 대폭 감소했다. 2016년 겨울부터 2017년 봄 사이 도내에서 발생한 AI 살처분 보상금과 매몰 비용은 304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휴지기제 시행 이후 19억5천만원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보상금 확대, 휴지 기간의 일부 조정 등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오리 휴지기제에 참여하면 소득이 떨어지고 새끼오리 입식에서도 일반 농가에 밀려 시행 농가가 크게 늘지 않고 있다”며 “AI 예방에 효과가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