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향후 10년간 직업변화에 대한 고용변동 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은바 있다. 고용변동의 확실성 요인으로는 인구구조 및 노농인구 변화,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과학기술 발전, 기후변화와 에너지 부족,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을 꼽았다.

반면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대내외의 경제상황 변화,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정부정책 변화 등을 꼽았다.

WEF(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미래 일자리 보고서’ 에서는 로봇과 인공지능 활용이 본격화 될 경우 가깝게는 내년부터 전세계에서 기존 일자리 700만개가 사라지지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등 4차산업 관련 분야에서 210만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된다고 전망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일자리의 총량은 감소할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 미래학자들의 지배적인 예측이다.

단순 육체노동뿐만 아니라 전문직종까지 인공지능 및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 감소가 예상되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일자리 감소는 청년층의 취업난과 소득활동 결절로 인한 국가경쟁력까지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정부 및 자치단체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현실적인 일자리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중국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크게 약진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제2의 메이지 유신에 가까운 양태를 보이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우리 역시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현정부 들어 출범시키며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한바 있다. 기술의 혁신과 사회정책 혁신이 함께 추진되고 국민 모두가 4차 산업혁명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됐다.

시간이 갈수록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안타깝지만 시대와 사회구조를 반영한 필연적인 미래이기에 현실을 직시하고 지혜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계층별 기본소득제와 계층별 수당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4차산업으로 발생된 부가가치가 사회 전체로 확산, 전이될 수 있는 토대를 하루빨리 갖춰나가야 한다.

지역출신자의 취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고급 전문인력 양성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민관산학의 협업체계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내야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의 혁신과 더불어 지혜로운 일자리 정책의 추진이 필요한 때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