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3·1절을 맞았다. 그러나 올해 86주년 3·1절은 예년과 달리 각별하다. 일본은 여전히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다. 소가 웃을 작태지만 현실이다. 이웃한 중국은 동북공정을 내세워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민족통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독일 통일이 그랬듯이 우리의 통일도 준비기간과 기대에 비해 예상외로 빨리 다가올 수 있다.

우리의 선조들이 1919년 3월1일 전국 방방곡곡에 터뜨린 독립운동의 열기는 35년에 걸친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광복을 가져다줬다. 국권을 되찾고자 하는 2천만 민중의 염원이 이끌어낸 힘이었다. 민족통일 의지가 확고해야 함을 다시 한번 천명한다. 민족통일을 위해 국민통합은 전제조건과 필요조건이 돼야 한다.

그러나 경계해야 할 게 많다. 최대의 걸림돌은 분단 상황의 장기화를 틈타 스며들고 있는 통일에 대한 체념이다. 세계화를 말하면 선진분자가 되고, 민족을 말하면 고루 분자가 되는 이분법적 공세 역시 경계해야 할 적이다. 우리는 식민통치 35년, 분단 60년을 합한 95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통일된 독립국가를 갖지 못했다. 하지만 아직도 대한민국엔 분열을 조장하는 세력들이 많다. 서글픈 일이다. 선거 때나 나타나던 지역주의는 위험지경이다. 정치권의 당리당략은 통일된 국론을 끌어내지 못하게 하고 있다.

우리의 20세기는 을사보호조약으로 막을 올려 3·1독립운동을 거쳐 8·15 광복을 맞았다. 그 뒤 민족 분단과 6·25전쟁, 경제재건이 뒤따랐다. 그리고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로 20세기가 막을 내렸다. 선조들은 20세기 준비를 잘못해 나라를 잃었다. 3·1독립운동의 희생도 치렀다. 21세기 대한민국은 달라야 한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계속되고 있는 경제불황과 빈약한 외교력은 무엇을 말함인가. 준비부족에서 생긴 현상이다. 어떤 경우든 개방과 개혁은 도구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민족국가로 남아 있는 한 민족의 번영이 최우선 목적이 돼야 한다.

가장 큰 번영의 기반은 통일이다. 통일이 되는 그 날부터 일본과 중국의 태도도 변한다. 세계화가 조건이라면 민족은 실체다. 오늘 3·1절을 계기로 실체를 위해 조건을 활용하는 지혜를 모아 보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