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명문고등학교’ 육성을 놓고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이 엇박자를 놓고 있다. 그동안의 논란을 지켜보면 ‘명문고’에 대한 이 지사와 김 교육감의 정의 자체가 다른 듯하다. 이 지사가 생각하는 명문고의 역할은 ‘SKY’로 통칭되는 명문대에 다른 지역의 학교보다 많은 학생을 입학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해 지역 인재 유출 방지는 물론 전국의 우수 인재 유치로 충북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충북도가 제시한 명문고 육성안을 살펴보면 제1안 전국 모집의 자율형 사립고 설립이다. 제2안은 자사고가 없는 충북 등에 한해 전국 모집이 가능한 자율학교 설립, 제3안은 도내 공공기관, 연구소 등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주소지를 충북으로 옮기지 않고 도내 고교에 자녀를 입학시킬 수 있는 제한적 전국 모집이다. 충북 시장·군수협의회도 전날 명문고 설립 이행을 도교육청에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하고 설립 건의에 적극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반면 김 교육감이 생각하는 ‘명문고’는 입시위주가 아닌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이 목표다. 그러면서 ‘국가 교육 어젠다를 실험하는 국립 미래학교’로 정의했다. 특히 자사고에 대해서는 “시대흐름에 맞지 않는 것으로는 모델이 될 수 없으며 남 부러워 따라하는 것으로 모범이 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 교육감은 교원대학교 부설 고등학교의 오송 이전과 관련해 "도내 국립학교도 검토해 볼 수 있는 안 중에 하나로 우리의 자산으로 삼을 수 있겠다는 판단에 제안한 것"이라며 "오송으로 이전한다면 국가 시책이라 당연히 전국 공모로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양측의 인식차가 워낙 크다보니 ‘명문고’ 육성 구상부터 사사건건 마찰을 빚고 있고 있다. 당장 명문고 설립을 재촉하는 충북도에 대해 김교육감은 “우물에서 조급하게 숭늉을 찾는 꼴”이라고 반박했다.

김 교육감은 “미래형 학교 모델은 도교육청이 안을 창출하고 충북도가 협력하기로 한 것”이라며 “교육 자치 영역을 침범할 것이 아니라 합의한 대로 기다려줘야 한다”고 불편함을 보였다. 김 교육감은 “조급하게 졸속 대안을 내 불협화음을 겪기보다는 호흡을 조절하며 물밑에서 의사를 타진하고 방안 찾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최대한 서두르자는 충북도의 요구를 거부한 셈이다.

사실 명문고 육성에 대한 도민들의 의견은 다양하다. 이 지사의 자사고 설립 요구에 고개를 끄떡이는 도민들도 많고 김 교육감의 주장에 공감하는 사람도 많다. 이처럼 누군가의 주장에 선뜻 손을 들어주기 어려울 때는 여러 사람의 지혜을 모아야 한다. 토론회 등을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모아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