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를 맞아 소외된 이웃을 돌아보는 관심이 절실하다. 장기적인 경제 불황의 여파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면서 자력으로는 생존 자체가 어려운 극빈층이 급증하고 있다.

일하고 싶어도 일할 기회를 얻을 수 없고, 활동하고 싶지만 기초체력조차 따라주지 못해 최저생활 유지마저 여의치 않은 계층이 늘어나는 것을 당사자들의 책임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과거처럼 누구나 열심히 노력하면 그만큼의 결과를 보상받던 사회구조가 아니라 자본이 자본을 재생산하고, 재화와 용역을 가진 계층의 독점력이 강화되는 경제체제가 고착화되는 추세에서는 빈곤층과 저소득층이 자립한다는 게 매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이들에게는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통한 분배양식이 거의 유일한 대안이다. 추운 겨울일수록 단순한 빈곤 이상의 결핍을 절감하는 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온정을 베푸는 일은 사회구성원에게 주어진 최소한의 의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사회복지 시설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에 대한 방문과 후원금 등이 지난해보다도 줄어들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소외되거나 오갈 데 없는 이들을 돌보는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후원금과 위문품이 예년에 비해 30% 이상 감소해 시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정도라고 한다. 복지시설을 찾아 위로와 사랑을 전달해 주던 방문자들도 현격히 줄어들어 이들이 느끼는 외로움은 전에 없이 크다는 것이 공통적 현상이다.

구세군 자선냄비와 충북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 실적도 저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복지제도가 많이 정착돼 가고 있기는 하지만 기금모금의 문제점 뿐 아니라 복지전달체계에도 미흡한 점이 적지 않다.

지난 24일 대구에서 발생한 유아 장롱 사망사건은 이웃의 관심과 행정기관의 체계적 복지지원이 얼마나 시급한 과제인지를 사례로 보여줬다. 이를 계기로 보건복지부에서는 독거노인과 소년소녀가장, 장애인 가정 등의 소외계층을 돕는 복지인력 충원을 위해 사회복지사를 도와주는 ‘복지도우미’를 배치할 계획을 세웠으나 실효성은 미지수다.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하더라도 복지에 관한 한 사회 구성원들의 관심과 온정보다 더 유용한 대안은 없다. 소외된 이웃을 다시 한번 돌아보는 연말연시가 되기를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