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을 만들어 내놓은 과제 중 지역분권화에 따른 지역혁신 부분이 있다. 전국 시·군 중 다수 낙후된 곳은 신 활력사업으로 어느 정도 진척된 곳은 혁신경쟁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을 균형 있게 발전시킨다는 게 그 취지다.

균형 있게 발전된 시·군이 대한민국 경쟁력의 초석이 된다는 뜻이다. 국가균형발전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기초단위에서의 출발이다. 충북 시·군마다 지역혁신협의회가 구성되고 운영될 모양이다. 지역혁신 기반조성과 지역혁신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사업의 분산보다는 선택과 집중차원으로 선정될 것이다.

시군의 협의회 구성은 행정담당, 대학, 기업, 사회단체, 연구소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게 된다. 이미 증평군과 단양군에서 협의회가 구성됐다. 이 협의회는 지역혁신 관련사업의 수요발굴, 추진과제 선정 그리고 관련사업 조성 등을 통해 혁신역량을 극대화해야 한다. 시군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잠재능력을 결집해 나가야 한다. 상향식 주민 눈높이 위주의 기획이 필요하다.

자립형 지방화를 목표로 관·산·학·연이 협력한 지역 살리기 프로젝트인 셈이다. 21세기 변화에 부응하고 새로운 성장 능력을 창출해 지역발전을 도모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와 방향이 분명해 기대에 부응할 수 있다.

첫째, 그 지역에 걸맞은 경쟁력 있는 혁신과제를 기획해야 한다. 혁신과제의 발굴과 추진은 그 지역을 온몸으로 잘 알아야 한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이름으로 타지역을 모방하거나 형식적인 발전전략은 억제돼야 한다. 이러한 과제에 참여하는 인사는 노련한 경험과 지역 애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산업육성을 위한 특화전략이 필요하다. 과거의 무슨 운동 차원으로는 곤란하다. 일회성으로 끝나기 십상이다. 지역문화와 지역특성을 살린 특화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 육성해야 한다. 그 자체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촉진시키는 계기가 돼야 한다. 과거의 지역운동 차원은 안 된다.

셋째, 문화자원을 개발하고 기반을 조성해 살맛나는 지역 만들기에 우선해야 한다. 관광차원을 포함해 지역 키워드와 슬로건을 내세우고 누구나 찾아와도 행복지수가 느껴질 수 있는 지역 브랜드를 창출해야 한다. 멋지고 국제수준의 지역자산을 활용을 위한 안목이 요구된다.

이러한 세 가지 방향에다가 그 지역만의 특유한 것을 드러내는 문화마인드가 있어야 한다. 충북 바이오토피아의 큰 그림과 시·군마다의 독자적인 이미지를 전제로 누구나 공감하는 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공들여 추진해야 지역혁신의 성취가 이뤄진다. 참여주체의 발상전환이 절실한 것이다. 그 나물에 그 밥은 안 된다. 확 바꾸려는 혁신의식과 오랜 기간에 축적된 그 지역만의 노하우가 상생돼야 한다.

무슨 혁신이다라고 이야기하면 기존의 것을 부인하는 습성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기존의 장점을 살리며 낙후된 측면을 바꾸는 게 혁신의 과제다. 이 점이 간과돼서는 또다른 역기능이 나타난다. 충북 곳곳을 세심하게 살려 가장 행복한 지자체 시·군이 될 수 있도록 지혜를 길러야 한다.

이 창 식  <세명대 미디어문학부 교수>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