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453만마리 폐사·여의도 면적 3.5배의 농작물 ‘일소’ 현상
양배추·닭고기 등 농·축산물 가격 ‘껑충’…추석 물가까지 위협

폭염의 장기화로 농·축산물 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 예년보다 열흘 가량 빠른 추석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급기야 비상 태스크포스(TF)를 확대 가동한 정부가 7일 수급 안정대책을 추가로 내놓기로 했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국 15개 시·도에서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 수는 총 453만409마리로 집계됐다.

이는 가축 재해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북의 축산농가 피해 1만1천412마리(닭 1만120마리, 오리 1천250마리, 돼지 38마리, 소 4마리)도 포함된 숫자다. 

지난해 여름 이맘때의 289만5천마리보다 56.5%(163만5천409마리) 늘었다.

축종별로는 닭이 425만7천68마리(93.9%)로 가장 많이 폐사했다. 오리 20만9천18마리, 메추리 4만6천마리, 돼지 1만7천819마리, 관상조 500마리, 소 4마리도 더위를 이기지 못하고 죽었다.

농작물 피해도 상당하다. 지금까지 1천16.9ha(헥타르=1만㎡)에서 햇빛 데임(일소) 현상이 발생했다. 여의도 면적(290ha)의 3.5배에 이른다.

사과·포도·단감·복숭아·자두·배 등 과수밭 513.5ha에서 과수 잎이 마르거나 열매가 강한 햇살에 오래 노출돼 표피가 변색하고 썩었다.

고추·수박·무·배추 등 채소밭 175.3ha, 인삼·깨·오미자 등 특작물 재배지 256.2ha, 콩·생강·옥수수 등 전작밭 71.9ha에서도 생육 장애가 나타나 올해 농사를 망쳤다.

폭염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보험금 기준)을 209억1천100만원으로 추정된다. 이날 기준 2천568개 피해 농가 중 374개에만 32억8천800만원이 지급됐다.

폭염이 계속되고 있어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농작물의 경우 적어도 예년보다 10~20%의 수확 감소가 예상된다는 게 당국 판단이다.  

해상에서도 급격한 수온 변화로 인한 수산물 피해가 속속 나오고 있다.

전남에서는 장흥 어가의 광어 13만여마리, 함평 어가의 돌돔 8만여마리 등 44만마리가 폐사했다. 울산 울주군에서도 넙치 등 4만여마리가 죽었다. 우리나라 전복 양식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완도 역시 고수온으로 전복 집단 폐사 위기에 처해 비상이 걸렸다.

문제는 올해 개화기 이상저온 현상에 폭염까지 겹치면서 밥상 물가가 요동친다는 데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이날 발표한 ‘주요 농산물 일일 도매가격’ 동향을 보면 무 가격은 개당 2천581원으로 평년보다 119.9%, 한 달 전보다는 128.8% 뛰었다.

양배추는 포기당 4천607원으로 평년의 119.1%, 전월의 231.2% 폭등했다. 배추는 포기당 3천369원(평년의 19.5%, 전월의 84.5%), 시금치는 4kg당 6만520원(평년의 107.7%, 전월의 265.0%)으로 올랐다.

수박은 8kg짜리 한 통당 2만5천83원으로 평년보다 57.4%, 복숭아(백도)는 4.5kg당 2만181원으로 35.7%, 포도(캠벨)는 5kg당 2만3천398원으로 32.7% 각각 급등했다.

닭고기는 kg당 1천868원으로 21.0%, 소고기(한우·지육)는 kg당 1만8천597원으로 6.9% 오른 상태다.

명절이 가까워질수록 제수용품을 중심으로 가격은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3일과 지난 1일에 이어 7일 농축산물 수급 안정대책을 추가로 내놓기로 했다.

정부는 이미 30억원 규모의 가뭄 예산을 자치단체별로 배정·지원하고 폭염에 대비해 관개시설이 없는 밭에 농업용 관정 및 용수를 추가 개발한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