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실물경제 여건이 부진해  전반적인 지역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한데다가 이러한 사정이 조만간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반기에는 충북경제를 견인해 오던 반도체를 비롯한 휴대폰 등 IT 관련 제품의 수출증가율 둔화와 함께 내수부진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상반기 보다 전체적으로 더 어려워 질 것이라고 한다.

더구나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유류수요 증가와 고유가 현상이 장기화되고, 각종 공공요금 인상도 이어지면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아 서민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게 뻔하다. 더욱 답답한 것은 이러한 사정이 지역에만 국한되는 일시적, 국지적 현상이 아니라 국가 전반의 일반적 경제여건이라는 점이다. 사실 충북지역 경제는 수출과 건설경기가 주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수출도 점차 둔화되고,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으로 잠시나마 탄력을 받아오던 건설부문이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위헌 결정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아 휘청거리는 실정이다. 건설경기의 선행지표인 건축허가면적이 최근 들어 감소하는 한편,  건설수주액 감소와 대형공사에 대한 외지업체의 수주 등으로 건설업 현황  부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밖에도 경기를 이끌어 가는 수출, 소비, 투자 가운데 수출과 투자 외에도 소비부문  역시 위축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해 경기활성화 전망을 어둡게 만든다. 충북에서 치러진  85회 전국체전의 효과로 일부 서비스업종의 매출이 증가했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치고 말았다.

이와 같이 총체적 부진상태에 빠진 지역경제를 단기간에 회복시키기는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황의 악화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포기할 수는 없다. 비록 경제가 역내(域內) 단위로 이뤄지지는 않지만 지역에서 취할  수 있는 대책을 다각도로 구사해야 함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특히, 지역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건설부문의 경우 대형공사를 외지 업체가 독식하면서 지역업체에는 하도급의 기회를 주지 않는 사례가 자주 있다. 이들에 대해 일정 정도 지역업체와 공동도급이나 의무도급 방식 등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경제가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이를 극복할 실효성 있는 특효약을 찾기는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실물경제 부문별로 지역실정과 여건을 고려한 지역차원의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관계기관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현실을 돌아보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방안 마련에 전력을 다하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