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고공행진이 도무지 멈출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판결로 안정세를 보일 것이란 예상이 완전히 빗나가면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은 현실에서 더욱 멀어지고 있다.

1년8개월여 전 청주의 한 아파트 분양 당시 주민들의 충격은 컸다. 34평형을 기준으로 평당 400만원에 달하자 주민들이 경악했던 일이다. 중앙의 한 건설회사가 다른 아파트와 차별화 시킨다며 마감재를 고급화시키고 다양한 가전제품까지 서비스 품목으로 제공하며 유혹했지만 처음에는 소비자들 반응이 냉랭하기만 했다.

그러나 당시 ‘신행정수도 열풍’의 불꽃이 점화되던 시기였고 속칭 ‘떴다방’까지 가세해 대부분 분양됐다. 중앙 업체들이 지역의 분양가 인상을 부추긴다는 비판성 언론 보도가 잇따랐음은 물론이다.

이를 계기로 청주·청원지역을 주택투기과열기구로 묶어 분양권 전매를 전면 금지시키는 정부의 극약처방이 나왔다. 그런데도 지금 어떤가. 이후에도 분양 때마다 서로 경쟁하듯 가격이 올라 이제는 평당 600만원 시대를 맞고 있다.

불과 1년8개월여만에 50%나 올랐다. 아파트 거래 가격이 평당 200만원대에 불과한 증평지역에서 12일부터 분양하는 어느 아파트 분양가도 450만원대에 달한다. 기록적이라던 당시의 분양가는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의 이야기가 됐다.

그와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그동안 지역에서 아파트를 건립·공급해 온 향토기업들이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향토기업들이 설자리를 잃은 것이다. 지역 주민들의 외면으로 벼랑 끝으로 내몰려 지금은 거의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그나마도 아파트를 건립할 수 있을지 조차 의문이 갈 정도로 상황이 악화됐다. 이로 인한 큰 문제는 자금의 역외유출이다.

이마트나 까르푸 같은 대형유통매장에 이어 아파트도 지역자금 역외유출의 주범이 되고 있다. ‘메이커’ 아파트 선호에 따른 주민들의 각성도 필요하지만 지역·중앙업체의 건축허가비율조정이나 분양가를 제한할 수 있는 자치단체·정부의 대책이 절실하다. 중앙업체들도 지역경제의 취약성을 인식해 수익금의 일부를 지역에 재투자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주길 촉구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