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우(禹)는 기원전 2100년 사람으로 하(夏)나라의 시조이다. 옛날에 황하 유역은 여름이면 큰 홍수가 나서 집과 가축이 떠내려가고 논과 밭이 물에 잠겼다. 요임금이 이를 심각하게 여겨 인재를 찾던 중에 숭(崇)부락의 우두머리 곤(?)에게 치수를 맡겼다. 곤은 물길을 막으려고 9년 동안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제방을 쌓았다. 하지만 황하를 다스리지 못했다. 오히려 물길을 막다가 수해가 더 커지기도 했다. 이는 오로지 제방을 쌓는 것만이 홍수를 막는 방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곤이 물러나고 그 아들 우(禹)가 치수를 물려받았다. 우는 아버지의 실패로부터 교훈을 얻어 물길을 널리 그리고 멀리까지 소통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를 위해 황하의 물길을 여러 갈래로 나누는 작업을 실행했다. 물이 지나가는 곳에 수리 시설을 많이 축조하여 논에 물을 대도록 했다. 13년 동안 황하의 치수를 담당하면서 우는 세 번이나 자신의 집 앞을 지나갔지만 단 한 번도 집에 들르지 않았다.

“몇 년 만에 집에 오셨는데 며칠 쉬었다가 일을 하시지요.”

시종들이 이렇게 권하자 우가 대답하였다.

“황하가 범람하면 집이 떠내려가고 논과 밭이 물에 잠겨 백성들이 비통해할 것이다. 그 참상을 생각하면 어찌 내가 일을 쉴 수 있겠는가?”

우는 백성의 입장에서 자신의 일을 생각했던 것이다. 그런 노력 끝에 황하의 치수를 성공하였고, 그 공로로 순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기(棄)는 순임금 때의 사람이다. 하루는 그의 어머니가 들에 나갔다가 커다란 거인의 발자국을 발견하고 그곳에 자신의 발을 대어보고 돌아왔다. 얼마 후 임신을 하고 아이를 낳았다. 하지만 불길한 징조를 가지고 태어났다고 해서 그 갓난아이를 길에 내버렸다. 그러자 소와 말이 피해가고 어느 동물도 밟으려 하지 않았다. 다시 숲에 내버렸지만 새들이 오히려 따뜻하게 돌보았다. 이상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 키웠다. 이때 기(?)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는 내버린 아이라는 뜻이다. 기는 어려서부터 나무를 심고 곡식을 가꾸는 일을 좋아했다. 그 재주가 대단하고 유능하여 순임금 때에 등용되어 농사를 담당하는 후직(后稷)에 올랐다. 이는 우둔한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쳐 굶주림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일이었다. 기는 자신이 잠시라도 쉬면 백성들이 굶주려 죽는다고 생각하여 잠시도 일을 쉬지 않았다. 그런 공로로 후세 사람들이 신농(神農)과 더불어 농업의 신으로 추앙하였다. 이는 ‘사기본기(史記本紀)’에 있는 이야기이다.

후세에 유학자인 맹자(孟子)가 우와 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우는 물에 빠지는 이가 있으면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했고, 기는 굶주리는 자가 있으면 자신의 잘못이라고 여겼다. 이들은 행여 처지가 바뀌었다고 해도 똑같은 행동을 했을 것이다.”

역지사지(易地思之)란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하라는 뜻이다. 아무리 일을 열심히 해도 위에서 알아주지 않고, 아무리 사람을 사랑해도 상대가 변하지 않고, 아무리 베풀어도 아랫사람의 마음이 돌아서지 않는다면 상대의 입장에서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입장을 바꾸어놓고 생각하면 길이 환히 보이는 법이다.

aionet@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