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공자(孔子)가 제자들과 채(蔡)나라로 갈 때의 이야기이다. 낯선 곳이라 길을 잘못 들어 산중에서 며칠을 헤매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가지고 간 양식이 다 떨어졌다. 그 와중에 다행히도 빈집을 발견하여 그곳에서 풀과 채소를 먹으며 일주일을 버티게 되었다. 모두들 기진맥진하여 자리에 일어설 수도 없는 상태였다. 스승인 공자 역시 힘이 없어 일어서지 못하고 비몽사몽간에 누워만 있었다.

제자 중에 공자가 제일 총애하는 안회(顔回)가 그래도 사람이 부지런하여 어딘가 나갔다오더니 쌀을 조금 얻어 왔다. 그는 서둘러 밥을 지어 공자께 드리고자 하였다. 밥이 차츰 익어가자 그 냄새가 잠자는 공자를 깨웠다. 눈을 뜬 공자는 이게 무슨 일인가 싶어, 밥 냄새가 나는 부엌을 들여다보았다. 그 순간 마침 안회가 솥뚜껑을 열더니 밥을 한 움큼 꺼내어 자기 입에 후르룩 넣는 것이 아닌가. 그걸 본 공자가 생각했다.

“안회는 평소에 내가 밥을 다 먹은 후에야 자신이 먹지 않았던가. 내가 먹지 않은 음식은 수저도 대지 않았는데, 오늘 저 모습이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저것이 그의 평소 모습이란 말인가? 아, 배운 것이 다 가식이로다!”

그때, 안회가 밥상을 차려 공자에게 공손히 가지고 왔다. 공자는 나름대로 지혜를 발휘하여 안회에게 말했다.

“안회야! 내가 방금 꿈을 꾸었는데 꿈에서 선친께서 말씀하시길 밥이 되거든 항상 먼저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라고 말씀하셨다. 또한 제사 음식은 깨끗해야 하며 누구도 먼저 손대서는 안 된다고 하셨다.”

그런데 안회의 대답이 뜻밖이었다.

“스승님! 이 밥으로는 조상께 제사를 올릴 수 없습니다.” 공자가 그 말에 놀라서 물었다.

“무슨 이유가 있단 말인가?”

안회가 대답했다.

“이 밥은 깨끗하지 않습니다. 제가 조금 전 뚜껑을 열었을 때 천장에서 먼지가 내려앉았습니다. 스승님께 드리자니 더럽고, 그렇다고 버리자니 너무 아까워 제가 먼지 묻은 곳을 먹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공자는 순간 자신이 부끄러웠다. 곧 제자들을 불러 모아 말했다.

“예전에 나는 나의 눈이 정확하다고 믿었다. 그런데 나의 눈도 완전히 믿을 것이 못된다. 또 나는 나의 머리를 믿었다. 그러나 나의 머리도 완전히 믿을 것이 못된다. 너희들은 함부로 다른 사람을 단정해서는 안 된다. 자신을 항상 옳다고 여기면 독선과 오해에 빠지는 것이다.”

이는 여불위가 편찬한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있는 이야기이다.

자시지벽(自是之癖)이란 자신이 항상 옳은 줄로만 믿는 고약한 버릇을 말한다. 세월이 흐르면 세상은 바뀌기 마련이다. 남북의 대치와 긴장도 평화의 교류가 생기는 것이다. 옛날의 판단으로 지금의 평화교류를 반대해서는 안 된다.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어 남북이 서로 자유롭게 왕래할 날을 기대해본다.

aionet@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