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구원 연구위원

우리나라를 온통 떠들썩하게 흔들던 달걀파동은 생리대 발암물질과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으로 벌써 관심에서 멀어져 버린 듯하다. 여중생 폭행사건은 그 정도가 끔찍하고 경찰의 수사 과정도 미숙해  같은 학부모 입장에서 분통이 터지고 미칠 노릇이다. 이 사건이 사회적 공분을 더 크게 산 이유에는 학교나 경찰의 태도가 큰 몫을 하는 것 같다. 그들은 이런 학교폭력 사건이 자주 있는 일이어서 그다지 놀랄 일이 아니며, 곧 잠잠해 질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고, 사실이 그래왔다. SNS를 통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면 한 여중생과 가족의 인생은 무시당하면서 짓밟혀 버리는 것으로 끝날 수도 있었다.

온라인에서 진행 중인 피해자 어머니의 청원과 국민 여론이 어떤 결론을 가져올지는 모르지만, 현 정부가 내세우는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해자와 사건을 무마하려고 시도한 관계자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뿐만 아니라, 왜 청소년 폭력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장기적 대응이 필요하다.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받지 못하거나, 부모의 지나친 간섭으로 자신의 존재감이 위축되는 경우 아이들은 자존감 즉,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이 약해지게 되고 이것이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자존감의 결여는 개인의 타고난 기질에 따라 외부로 표출되거나 내부로 움츠려드는 성향으로 나타난다. 외부로의 표출은 과하게 행동하거나 폭력을 행사함으로써 자신의 나약함을 포장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 내부로 움츠려드는 성향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어떤 문제에 부딪혔을 때 친구들로부터 외면당할까봐 지나치게 걱정함으로써 자신을 더욱 위축하게 만든다. 근본 원인은 같은데 나타나는 현상은 정반대이며, 한 쪽은 가해자로 다른 한 쪽은 피해자로 남게 된다. 한 인간으로서 자존감의 형성은 어린 시절이 좌우한다. 주변 지인들의 경우나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어린 시절 낮아진 자존감은 아무리 좋은 책을 읽고 교육을 받는다고 높아지지 않는다. 다만, 꾸준한 교육과 치료를 통해 자신의 자존감이 낮은 원인을 제대로 알고, 그것이 본인의 탓이 아니라 어린 시절의 주변 환경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되면, 비슷한 상황이 닥칠 때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있는 힘과 여유가 생기게 된다.

결국 어린시절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그 사람의 자존감을 좌우하고, 친구들과의 관계에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는 맞벌이가 늘어나는 사회적 현상이 우려스럽고, 최근의 우리나라 청소년 문제(폭력, 자살)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여성의 사회적 기여나 자아 성취의 기회를 막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다. 맞벌이 부부를 위해 어린이 보육시설비용을 지원하거나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지금의 정책도 필요하지만, 그 보다는 어느 정도의 경제적 소득을 포기하는 대신 자존감 있는 아이의 양육을 선택하는 외벌이 부부에게 오히려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 그래야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고, 그 아이들이 청소년이 됐을 때는 지금과 다른 모습을 보일 것이며, 성장해 어른이 되면 사회 전체가 변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정책은 저출산 문제도 해결해 줄 것이고, 외벌이를 지원한 예산보다 자살이나 폭력 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몇 배는 더 절감시켜 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