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창 식 <세명대 미디어문학부 교수>chang-0715@hanmail.net

말도 안 되는 지방분권화를 거론하고 있다. 마치 그 말만 들으면 전국 곳곳이 대등하고 균등하게 살 것처럼 보인다. 신기루 정치다. 더구나 지방자치시대 3기인데 지방자치제도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잘 뿌리내릴 수 있는 국가적 지원책과 효율적 제도안이 마련해 나가는 쪽으로 정책을 내어야지 즉흥적인 발상으로 인기 위주의 정책은 안 된다.

충북 역시 선거 때만 되면 충북 전역에 대한 균등 발전론을 들고 나오고 있다. 또 수도권 이전에 따른 충북 발전 계획도를 바꾸겠다고 한다. 모두 일리가 있다. 그 청사진 역시 현혹하기에만 알맞지 자세히 그 실상을 들여다보면 꽝이다. 결국 나중에는 시행착오와 책임자 없는 중도하차의 사업만 무성할 뿐이다. 바뀌어야 한다. 언제까지 이런 식으로 갈 것인가.

조금 좁혀서 보면 충북 발전의 전략도에 문화분야가 배려돼 있지 않다. 오로지 첨단기술을 통한 건설 등으로 치우쳐 있다. 충북 사람들의 삶에 대한 행복지수가 충족되지 않은 껍데기 위주의 잘 살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바뀌어야 한다.

웰빙시대에 충북의 지역문화가 그 지역의 실정에 맞게 변화하고 찾아오는 이들에게 기쁨과 즐거움으로 나타날 때 감동한다. 진정한 지방분권화는 충북 각 시군마다 적절한 지역문화를 키우고 시대의 흐름인 첨단정보기술과 자연스럽게 접목해 나갈 경우 지역민이 공감하는 국가시스템이 된다.

요즘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이 이만저만 높아지는 게 아니다. 충북향토사연구협의회는 8월28일 증평에서 ‘지방자치와 향토문화’로 학술대회를 열어 관심을 끈다. 충북지역에 산재해 있는 문화유산을 어떻게 보존하고 새로운 문화로 창출할 것인가에 초점이 모아진 듯하다. 지방자치시대의 향토문화에 대한 예산확보 문제, 축제의 개선방향, 문화시민운동, 향토문화콘텐츠 개발, 선거문화의 개선방안 등 다양하게 논의돼 충북문화의 실상을 짚었다.

으뜸충북 만들기는 인구를 늘이고 행정수도 이전의 배후지 혜택을 받고 첨단과학단지를 마구 만든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시·군마다 인구가 줄어서 탈이라고 한다. 예전 탄광지역에 빽빽이 들어찬 인구 때문에 문화적 혜택이 향상된 적이 있는가.

인구 많은 게 잘 사는 증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적지만 알찬 곳, 그 곳에 지역다운 문화가 생동하는 곳, 그 곳이 충북이어야 한다. 곳곳마다 특성화한다고 야단이다. 특성화해야 마치 모든 게 끝나는 것처럼 효도하고 있다. 특성화 전략도 충북다운 것을 찾고 충북 시·군 특유의 자원을 살리는 것에서 나온다.

충북지역은 조상들의 문화유산이 풍부하게 펼쳐져 있다. 그것을 오늘날 삶 속으로 끌어들여 효과적으로 현대화했을 때 매력적인 충북이 될 수 있다. 청풍명월의 선비적 이미지가 살아 있는 곳, 그 곳의 원형자산을 콘텐츠로 개발하고 문화감성시대에 또다른 생활문화로 꽃 피워갈 때 충북의 정체성은 있게 마련이다.

충북 사람들의 유·무형유산에서부터 마음씨까지 지적 재산권의 원천이다. 문화유산의 원형을 미디어시대에 새롭게 가치 부여하고 새로운 즐길거리의 문화로 선보여야 한다. 가장 향토적인 것, 매우 촌스러운 것에 노다지가 있다.

지방자치시대에 단체장, 의원, 시민대표, 문화운동가 등은 이 점을 명심해 지역문화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이들의 지역문화에 대한 신념이야말로 지역민의 문화적 욕망 실현에 직결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으뜸충북, 향토문화의 저력을 통해 실현하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