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357년 전진(前秦)은 북방 저족이 세운 나라이다. 부견이 3대 황제에 오르자 한족 출신인 왕맹(王猛)을 재상으로 등용하여 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이후 북방 여러 나라를 통일하여 그 위세가 동쪽 고구려로부터 서쪽 티베트까지 이르렀다. 이때 남은 나라는 동진(東晉) 하나뿐이었다.

평소 부견은 왕맹의 말이라면 존중하고 따랐다. 하지만 왕맹이 죽자 달라졌다. 왕맹은 유언으로 선비족과 강족을 전진에서 몰아내는 것이 나라의 중대사라고 하였음에도 오히려 부견은 투항해 온 선비족의 장수 모용수와 강족의 장수 요장을 신임하여 중용했다. 또한 동진을 공격하기보다는 국가의 내실을 다지는 것이 우선이라고 하였음에도 부견은 전쟁준비를 서두르며 신하들에게 그 의견을 물었다.

“폐하께서는 왕맹의 유언을 잊으셨습니까? 지금 도성에는 선비족과 강족 등 이민족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동진을 점령하기보다 우선 이들을 정리하셔야 합니다. 만일 폐하께서 원정을 나가셨을 때 이들이 반란을 일으킨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부견이 듣고는 크게 화를 냈다. 그때 장수 모용수가 대답했다. “우리에게는 폐하와 같은 영명한 군주가 계시고, 백만 명의 군사가 있는데 어찌 그 작은 동진을 점령하지 못하겠습니까? 폐하께서는 결단만 내려주십시오.”

부견이 그 말을 듣고 흡족하게 여겼다. 드디어 부견이 90만 대군을 이끌고 동진 침략에 나섰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동진은 전군 총동원령을 내렸다. 모인 병사는 모두 8만 병력이었다. 두 나라는 비수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였다. 이때 동진의 장수가 부견 앞으로 편지를 보냈다.

“전진의 군대를 약간만 뒤로 물러서 달라. 그러면 우리 군대가 비수를 건널 터이니 그때 싸우자.”

부견이 이에 동의하여 전진의 군대를 뒤로 물러서라 하였다. 그러자 동진의 군대가 비수를 건너기 시작했다. 그때 전진 진영 후미에서 누군가 크게 소리쳤다.

“전진의 군대가 패했다! 도망하라. 전진의 군대가 패했다! 도망하라.”

물러서고 있던 전진의 병사들은 패했다는 소식에 진위를 알아볼 생각도 못하고 무작정 달아나기 시작했다. 그러자 군대는 일순간 혼란에 휩싸였다. 동진의 병사들이 그 틈을 놓치지 않고 공격하여 전진의 대장군을 목 베었다. 대장군이 죽자 전진의 백만 대군은 혼비백산하여 달아나기 바빴다. 부견 또한 뒤도 안돌아보고 도망쳤다. 이때 살아 돌아간 자는 열에 한 명이었다.

부견이 전쟁에서 패하자 이후 각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반란군에게 장안을 빼앗기자 부견은 도주하였다. 도중에 자신의 장수였던 요장에게 사로잡혀 처참하게 죽었다. 이로써 그 강성했던 전진은 무참히 와해되고 말았다. 이는 ‘진서(晉書)’에 있는 기록이다. 영고성쇠(榮枯盛衰)란 한 시절은 영화롭고 번성하고 한 시절은 메마르고 쇠퇴함을 말한다. 국가나 개인에게 있어 흥하고 망하는 것이 뒤바뀌는 현상을 뜻한다. 높이 올라왔다고 생각이 들면 내려갈 일을 준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 순간 추락하고 말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