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전격 구속 수감되면서 ‘최순실·박근혜게이트’ 사태에 대한 검찰수사 중 가장 지지부진했던 우병우 전 민정수석에 대한 수사가 주목을 받게 됐다. 검찰은 이번 주부터 SK·롯데그룹 수사와 함께 우 전 수석을 소환, 본격적으로 조사한다는 입장이지만 다른 피의자들에 비해 유독 시간을 끌어 국민의 불신이 팽배해진 상태다.

우 전 수석에 대한 혐의는 차고 넘친다. 우 전 수석은 최순실씨 국정 농단 사실을 알고도 묵인했거나 이에 협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외교부 등 공무원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했고, 특별감찰관 활동을 방해했다는 등의 혐의를 받는다. 공정거래위원회 소속 공무원에 대한 직권남용, 국회 위증, 민간인 불법 사찰은 물론 가족회사 정강을 통한 횡령 및 탈세 혐의 등 개인 비리가 있다는 의심도 사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 특별수사팀, 1기 특별수사본부,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관련 혐의를 수사 했지만 뚜렷한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2기 특수본에 공을 넘겼다. 이를 두고 우 전 수석 수사가 검찰 내부를 겨눠야 하는 만큼 검찰이 ‘봐주기 수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수사 기록을 넘겨받은 2기 특수본은 청와대 압수수색을 통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고, 민정수석실 파견 후 복귀한 검사들을 소환 조사하며 제식구 감싸기 등 논란에 대해 정면 돌파하고 있다는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누가 봐도 우 전 수석 수사에 대해 미온적이라는 의구심을 떨쳐 낼 수 없다.

우 전 수석은 김기춘 전 실장과 함께 법꾸라지라는 별명을 갖고 있을 만큼 법에 대해 누구보다 해박한 사람이다. 사태가 불거지자마자 자신의 핸드폰을 깨끗하게 지우고 새 폰으로 교체한 인물이다. 그동안 철저하게 증거인멸을 시도했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순실 등에 의한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지 반년이 돼가고 있는 최근에야 겨우  수사에 제동을 걸었다는 것은 어떤 변명으로든지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다.

권력의 최고 중심에 있던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고 구속 되는 전 과정, 혹은 앞서 정윤회 문건 사건 등에서 우 전 수석 역할의 문제점은 이미 깊숙이 드러나 있는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검이나 검찰이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가 진전되지 않고 있는 점은 수사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는 시선이 많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이번 주 중에 우 전 수석 소환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소환 조사 후 곧바로 구속영장 청구로 이어져야 한다. 만약 이번 주를 넘기게 되면 그간 의혹이  제기됐던 우 전 수석을 둘러싸고 있는 검찰조직의 철통같은 성벽에 대해 국민이 가만있을 성 싶지 않다. 검찰 조직에 금이 가고 검찰의 민낯이 드러난다 해도 이번 기회가 아니면 검찰의 적폐문제를 해소할 길이 없다는 것을 알이야 한다. 검찰이 스스로 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박 전 대통령 구속으로 우 전 수석 수사가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주목할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