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기원전 684년 춘추시대, 초(楚)나라는 문왕(文王)이 즉위한 이후 군사력이 강해졌다. 이를 계기로 국경을 맞대고 있던 작은 제후국인 식(息)나라와 채(蔡)나라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그 무렵 진(陳)나라 대부의 큰딸이 채나라 왕에게 시집갔고, 둘째딸은 식나라 왕에게 시집갔다. 그런데 둘째딸의 미모가 너무도 아름다워 마치 복숭아꽃 같아서 도화부인이라 불리었다. 하루는 도화부인이 친정에 다녀올 일이 있었다. 진나라로 가려면 채나라를 거쳐야 했다. 채나라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처제인 도화부인을 위해 크게 잔치를 열었다. 그런데 술김에 그만 도화부인을 넘보는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급히 도망쳐 나온 도화부인은 남편에게 이 사실을 모두 일러바쳤다. 화가 발끈한 식나라 왕은 채나라를 공격하고자 초나라의 도움을 청하기에 이르렀다.

“초나라가 저희 식나라를 공격하는 것처럼 꾸미면 제가 채나라에 구원을 청할 것입니다. 그러면 채나라에서 반드시 구원병을 이끌고 올 것인데, 그때 제가 성문을 열어주지 않으면 채나라는 꼼짝없이 초나라에 당하고 말 것입니다.”

이 계책에 따라 초나라가 식나라로 쳐들어갔다. 식나라는 다급하게 채나라에 구원병을 요청하였고, 채나라 왕은 도화부인에게 실수도 만회할 겸, 점수도 얻을 겸해서 군사를 이끌고 출동했다. 그러나 성문에 들어서지도 못하고 그만 초나라 군대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초나라 문왕은 채나라 왕을 죽이고자 했으나 신하들이 반대하여 어쩔 수 없이 풀어주고 말았다. 전송 전에 잔치를 베풀어 우호관계를 돈독히 하고자 했다. 초나라 미녀들의 가무를 보여주면서 문왕이 채나라 왕에게 물었다.

“그대는 생전에 이토록 아름다운 여자들을 본 적이 있는가?” 그러자 식나라에 속아 포로가 된 것에 앙심을 품고 있던 채나라 왕이 대답하였다.

“식나라 도화부인에 비하면 저들은 미모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아마 그녀보다 아름다운 여자는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그 대답을 듣자 문왕은 도화부인이 도대체 어느 정도의 여자인지 궁금해졌다. 급기야 사냥을 빙자해서 군대를 이끌고 식나라에 이르러 왕에게 물었다. 

“내가 당신 부탁대로 채나라 왕을 사로잡았거늘, 어째 당신의 부인은 내게 고맙다는 술 한 잔을 따르지 않는 것이요?”

식나라 왕은 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어쩔 수 없이 부인을 불러 술을 따르도록 하였다. 그러자 도화부인을 본 문왕은 그만 그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눈이 휘둥그레지고 말았다. 다음날 아침, 초나라 문왕은 적당한 구실을 만들어 식나라 왕을 긴급체포하였다. 그리고 목숨을 살려준다는 조건으로 도화부인을 손에 넣었다. 이렇게 해서 식나라는 초나라에 편입되고 말았다. 이는 ‘춘추좌씨전’에 있는 이야기이다. 순수견양(順手牽羊)이란 기회를 틈타 남의 양을 끌고 간다는 뜻이다. 적의 작은 허점을 결코 놓치지 않고, 아군의 유리함은 반드시 이용하는 36계의 전략 중 하나이다. 이익이나 뇌물로 맺은 관계는 항상 종말이 비참하기 마련이다. 세상을 건강하게 살고자 한다면 돈 놓고 돈 먹는 인생을 피해가는 것이 상책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