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4·13총선은 6일 남았지만 사실상의 투표는 내일부터 시작된다. 8∼9일 사전투표가 실시되기 때문이다. 전국 단위의 국회의원 선거에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낮은 투표율을 끌어올리고 유권자의 선거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인 만큼 어느 때보다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전투표는 별도의 부재자 신고를 하지 않아도 주소와 관계없이 신분증만 지참하면 전국의 모든 읍·면·동사무소에서 투표가 가능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에 전국 3천511곳에 사전투표소를 설치해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13일에 실시되는 본 투표는 주소지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서만 해야 하나 사전투표는 가까운 투표소 아무 곳이나 찾아 주권을 행사할 수 있어 투표율 상승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사전투표제가 처음 도입됐던 2013년 4·24 보궐선거와 같은 해 10·30 보궐선거는 각각 4.9%와 5.4%에 머물렀으나 이듬해 지방선거 때는 11.5%로 껑충 뛰어 올랐다. 이는 전체 투표율에도 영향을 미쳐 2010년 54.5%였던 지방선거 투표율이 2014년 56.8%로 상승했다.

이번 총선에서는 전체 투표자의 20%가 사전투표에 참여할 것이라는 전망치가 나오고 있다. 덕분에 이번 전체 투표율은 19대(2012년) 총선(54.2%)보다 높을 것이란 예측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사전투표제의 효율성은 이미 미국과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입증돼 확산되는 추세다. 사전투표 기간도 우리보다 훨씬 길어 10일 안팎이다. 특히 (공)휴일을 포함시켜 투표율을 높이고 있다. 우리도 토요일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고려해 일요일까지 기간을 더 늘리는 방안이 요구된다.

사전투표제의 근본 취지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투표일은 임시 공휴일이라며 나들이 가느라 참정권을 포기하는 유권자들이 많다. 그런 유권자들은 사전투표에 참여해 한 표의 권리를 현명하게 행사하길 바란다. 투표율이 낮으면 민의가 왜곡되고 대표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

이번 총선은 늑장 선거구 획정에 공천파동까지 겹치면서 국민들의 눈 밖에 나 있는 것이 사실이다. 차별성 없는 공약과 정책 이슈 부재도 정치적 피로감을 가시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정치에 손을 놓아서는 안된다. 지금 우리의 삶이 힘든 이유는 잘못된 정치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낡은 정치세력을 미래지향적인 정치세력으로 교체하는 힘은 유권자만이 갖는 특권이다. 소득이 높을수록 투표율이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투표를 하지 않는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방관자로 무시할 경우 장래 우리는 더 많은 피눈물을 흘려야 할지도 모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