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등록 후 법정선거운동이 본격화한 이번 6·13지방선거에 있어서도 정당과 후보별 선거공약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 그 실현성이 담보되지 않은채 졸속과 재탕·삼탕의 ‘말 잔치’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비판받고 있는 정당 및 광역, 기초자치단체장들의 선거공약 중에서 눈을 씻고 보아도 찾아 볼 수 없는게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지방언론, 그 중에서도 지방신문(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지방종합일간신문)에 관련된 공약사항의 전무(全無)함이다.

우리의 이같은 지적에 정당과 각 후보들은 지방신문에 관련된 공약이 왜 이번 지방선거에서 제기되어야 하느냐고 반문(反問)하면서, 지방신문과 연관된 선거공약이 공식 발표되면 ‘지방언론의 자유’를 위축시키거나 지방언론을 인위적으로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수 있다고 주장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지방신문 관련 선거 공약의 필요성은 언론자유의 내실있는 발전과, 지방자치의 효과적인 결실등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적극적으로 검토, 수용되어야 한다. 다시 강조하면 지방신문이 지역 언론자유의 신장과 지방자치 전개 과정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척박한 지역언론 존립환경 등으로 인해 전국의 지방지 중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립·흑자경영이 거의 어려워 이에 대한 입법 정책적 (제도적)지원 대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첫 걸음은 지방신문의 피나는 자구(自救)노력을 전제로 지방의회의원과 광역 및 기초 자치 단체장들이 지방자치와 지방언론 발전차원에서 제도적인 장치마련에 능동적인 자세를 보이고 지역출신 국회의원과 각 정당의 중앙당이 필요한 입법조치에 나서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구조적으로 적자 경영을 면치 못해 그 존립이 위태로운 지방신문(사이비 신문을 포함하지 않음은 물론이다.)을 살리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 6·13선거 공약과 올 연말의 대선 공약 등에서 가시화, 실천되어야 한다.

우리의 이같은 주장을 ‘지방신문 이기주의’의 발로라고 폄하해서는 안된다. 지방신문들이 현실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역할과 존립의 어려움을 직시하면 지방신문 육성 대책의 필요성은 저절로 공감하게 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방신문들이 지방시대, 지방자치시대의 한복판에서 발휘하고 있는 기능과 역할은 실로 다양하다. 그 지역과 애환을 함께하고 있는 지방신문의 공공 저널리즘의 역할을 요약해 보면 △지역현안과 발전 문제등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토론회, 세미나 등 개최 △각종재해 및 불우이웃돕기 성금 모금 및 캠페인 △각종 스포츠, 문화예술, 학술 행사등의 개최와 보도 △각종 시상·표창제도의 제정·시행 △국가 및 지역사회를 위한 공익 캠페인의 전개 등 그 예를 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여기에다 2001년말 현재 전국 39개 지방종합일간신문사의 정규직 종업 원수는 5천 116명으로 1개 신문사 당 평균 131명의 상시 종업원수를 보유, 지방 중소기업체로서의 고용 창출에도 적지 않게 기여하고 있다 하겠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신문들은 입법정책적으로 응분의 보호를 받지 못한채 광고시장과 인력관리면 등에서 중앙지(대기업)의 막강한 파워로 인해 결과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서울에서 발행되고 있는 전국지들은 지방뉴스의 편집보도량이 지방신문에 비해 극히 적은데도 거대한 인적·물적 자본을 내세워 국가 주요기관과 중·대 기업체등의 광고를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는가 하면 지방신문들이 애써 키워논 인력을 스카웃해가고 신문 마케팅 과정에서 물량공세를 경쟁적으로 퍼붓고 있다.

이같은 현실에서 지방신문들이 힘있게 살아가기는 IMF후유증이 아니라 해도 정말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프랑스·독일·노르웨이·영국등 선진 외국이 지역 분권과 지방자치의 내실있는 발전을 위해 지방신문(언론)을 제도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는 사례를 참작하여 우리나라 지방신문들이 올바르게 육성될 수 있도록 하는 법과 시책이 강구돼야 한다.

이 경우에도 지방신문의 지원에는 엄격한 조건이 있어야 할 것은 물론이다. 최근 전국 주요 지방신문사들이 회동하여 가칭 ‘지방신문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 청원’ (발의:강원도민일보)을 추진,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는 바, 중앙 및 지방정부와 여·야 정치권도 이에 각별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