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안정대책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농민들의 벼가마 시위가 연례행사가 된 것은 쌀 과잉생산이 원인이다. 올해 쌀 생산량은 468만t으로 예상되는데 소비량은 437만t 수준에 머물러 공급량이 31만t 남아돌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해마다 공급초과현상이 반복되면서 쌀값 폭락이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쌀값 폭락의 원인은 공급 과잉이다. 여기에 매년 재고를 40만∼50만t씩 해소해 오던 대북 쌀 지원이 중단되면서 이 같은 공급초과를 부채질하고 있다. 특히 식생활 변화로 국민 1인당 쌀 소비량도 줄고 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02년 87㎏에서 2003년 83.2㎏, 2004년 82㎏, 2005년 80.7㎏, 2006년 78.8㎏, 2007년 76.9㎏ 등으로 감소했다. 농민들은 쌀 대북지원 재개와 농협수매 확대 등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또 쌀 대북 지원 재개와 함께 법제화를 요구하지만 정부의 대북 정책 등으로 미뤄 볼 때 쉽지 않다. 또 농협의 자체수매확대와 출하 조정을 통한 쌀값안정, 농협 자체수매 가격을 선 지급한 뒤 다음 연도에 정산, 유통업체에 저가미 판매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쌀시장 과잉물량 10만t을 추가 격리하고 벼 매입량을 270만t으로 작년보다 23만t 확대하며 민간부문 매입량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강화 등의 대책을 발표했지만 역부족이다. 농협과 지자체도 매입자금 조기지원·공공비축미확대·쌀 수요창출·대외원조방식 등 과잉물량의 특별처분을 정부에 건의했지만 이 역시 근본적인 처방은 아니다. 쌀 가공식품 개발을 통한 쌀 소비도 한계가 있다. 쌀값안정문제는 과잉생산이 문제지만 남는 쌀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생산농가의 의욕을 꺽게 되고 결국 ‘식량안보’문제로 귀결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쌀값폭락 문제는 농민들의 책임도 있지만 정부가 적극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