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지역으로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와 대구·경북 신서혁신도시가 공동 선정됐다. 이에 따라 오송·신서에는 2038년까지 시설운영비 1조8천억원, 연구개발비 3조8천억원 등 모두 5조6천억원이 투입돼 신약개발지원센터와 첨단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첨단임상시험센터 등 종합연구공간이 들어선다. 첨복단지 분산 배치로 집적 효과는 떨어지겠지만 오송이 핵심 지역으로 발전할 경우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첨복단지 오송 유치는 10년 간 차질 없이 준비해 온 충북도와 이를 뒷받침한 도민의 단합된 의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 마디로 오송은 교통 접근성이 좋고 식약청 등 관련 기관의 이전에 따른 시너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준비된 입지였다. 그러나 정부가 당초 계획과 달리 복수 후보지를 선정, 향후 추진 일정에 변수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정부가 앞서 집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복수 선정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게 공염불이 됐기 때문이다. 한국판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로 육성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었다. 그래서 이번 선정 결과가 지역 정서와 정치적 결정을 고려한 타협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이다.

충북도는 이제 대구와 상호 협력하면서 경쟁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전략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함께 경쟁했던 대전·원주시와의 연계를 통한 상생 방안 수립도 필요하다. 특히 첨복단지 이원화로 인한 경쟁력 약화 대응 방안 마련은 물론 복수 지정에 따른 예산 확보도 문제다. 두 지역이 효율적으로 발전하려면 역할·기능을 달리한 특화 전략이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앞으로 과제는 오송·대구와의 시너지 효과는 물론 관련 업계·연구기관 등 민간 투자(61%)를 얼마나 이끌어내느냐다. 이것이 ‘첨복단지 오송’의 성패를 가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