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각각] 메가시티 축은 CTX… 공항·행정수도·오송 바이오 전략지도 준비해야
2025-11-16 최영덕 기자
[충청매일 최영덕 기자]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가 민자적격성을 통과했다. 착공 목표는 2028년, 개통은 2034년. 시간상 10년이지만, 도시를 바꾸기엔 결코 여유롭지 않다.
CTX는 단순한 교통 편의가 아니다. 대전·세종·청주를 하루 생활권으로 묶어 지역소멸을 막고 균형 ‘성장’을 견인하는 메가시티 전략의 핵심 축이다. 도심을 관통하는 광역철도 없이 청주는 여전히 다른 생활권으로 남고, 그것은 곧 도태라는 경고를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 이제 과제는 레일을 깔 ‘공사계획’이 아니라, 연결을 중심으로 한 도시·산업·경제의 ‘전략지도’를 펴는 일이다. 지금 청주시와 충북도는 도시 재설계 마스터플랜을 세워야 한다. 준비된 도시만이 메가시티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서울·수도권이 하루 생활권이 되는 건 결국 도로·철도·대중교통망 때문이다. 대전·세종·청주, 더 크게는 충남(공주·아산)까지도 일상 통근·통학이 가능한 정시성이 높은 대도시권이 된다. 대도시권이 됐을 때 청주시는 어떤 효과를 키우고 어떤 리스크를 줄일지 전략을 갖고 준비해야 한다. 도시 공간 구조와 산업·상권 구조, 대중교통 체계를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유리한 조건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 지 로드맵을 짜야 한다. CTX 이후 청주·충북이 어디를 어떻게 바꿀지 선제적으로 설계하려는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선 광역교통-도시공간 통합 마스터플랜을 설계해야 한다. CTX 역세권의 용도·밀도·보행축을 재설계하고, 버스·BRT를 철도망으로 재편해야 한다. 역세권은 업무·주거·환승의 고밀 복합으로, 구도심은 문화·행정·로컬상권 강화로 기능 분담을 고정해 ‘빨대효과’의 위험을 상생효과로 바꿔야 한다.
특히 메가시티의 편익을 현실화 해야 한다. 세종·공항·오송 R&D 축과의 원스톱 환승허브를 설계해 공항·행정·산업을 하나로 묶어야 대한민국 행정과 산업, 경제를 이끌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불안한 부분도 크다. 민자 리스크다.
GTX·위례선이 남긴 교훈은 분명하다. 사업 추진에 있어 민·관이 함께 고민하고 점검해야 한다. 공사 지연을 차단할 수 있는 조정의 매커니즘이 필요하다.
또 새로운 역세권이 구도심을 잠식하는 전형적 실패를 반복해선 안 된다. 역세권·구도심 상생전략을 세우고,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로 역세권에는 업무·환승·주거의 밀도를, 구도심에는 문화·행정·로컬상권의 매력을 강화해 기능을 분담해야 한다.
‘청주 지하철 시대’는 지도 위의 선 하나로 끝나선 안된다. CTX는 기회다. 준비하는 도시만이 그 기회를 도시의 혁신으로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