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가 만 3년에 걸쳐 내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인구는 올해 들어 지난 10월까지 10만명 가까이 자연 감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출생아 수는 2만658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91명(-0.4%)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10월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월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83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기록했다. 조출생률도 4.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반면 10월 사망자 수는 작년 동월 대비 2천13명(7.3%) 증가한 2만9천763명으로 동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10월 인구 자연 감소분은 9천104명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국내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36개월째 감소세가 진행 중이다.

정부는 지난 16년 동안 저출산 대응 예산으로 280조원을 쏟아 부었다고 한다. 2011년이후 매년 관련 예산을 연평균 20% 이상 늘려왔음에도 합계출산율을 비롯해 청소년 인구비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제는 저출산 문제 해소를 새로운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로 내려 앉았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는 2001년(55만9천900명)의 절반도 안 되는 27만2천300명이다. 또한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2분기 기준으로 0.75명까지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출산율이 크게 낮아지면서 청소년(9세~24세) 인구도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경쟁력 저하가 크게 우려되고 있다.

이 추세대로라면 40년 후에는 청소년 인구 구성비가 총 인구의 10%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40년 전인 1982년의 청소년 인구는 1천420만9천명으로 총 인구의 36.1%를 차지했었으나 2060년에는 445만8천명으로 인구의 10.4%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OECD(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 1명이 되지 않는 국가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소위 선진국이라 부를 수 있는 회원국들로 구성된 OECD의 평균 합계출산율이 1.63명에 이르는 것을 고려했을 때 대한민국의 출산율 수준은 최악이라 평가할 수 있다.

게다가 주된 출산연령층인 30대 여성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혼인건수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구조적인 요인과 가치관 변화 등이 인구감소의 원인으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단시간 내의 해소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구규모는 국가와 지역의 지속가능성과 미래발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인구감소 문제 해소는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가장 정책에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해야할 숙제다.

이제는 저출산 대책이 출산 및 양육의 영역을 벗어나 경제·사회 전반에서 전방위적 계획을 갖춰 추진되길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