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어느 해보다 국민의 피로도가 높은 한해로 꼽을 수 있다. 코로나19의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한 사회적 현실에서 물가 폭등과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국민들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여기에다 예상을 넘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은행 이자율 폭등까지, 이중 삼중의 고통으로 국민들이 감당하기에 벅찰 정도로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상태다. 정부와 관련 부처가 물가 안정화에 나섰지만,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 상승의 억제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특히 물가 안정은 국민의 생활기대치를 높이는 데 영향력이 크다. 고삐 풀린 듯 폭등하는 물가 잡기에 정부가 나서서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데도 그렇지 못했다.

정권이 바뀌어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지만, 국민의 민생을 위한 정치적 변화는 어디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민생현안은 뒷전으로 밀려 사사건건 국회에 발목이 잡혀 국민의 생활과는 거리가 먼 자신들의 영역지키기 싸움뿐이어서 국민의 불신만 커진 상태다.

게다가 지난 10월 29일 용산 이태원 참사로 인해 정부와 국민의 갈등이 깊어져 가장 우울한 한해로 점철됐다. 공공요금 인상과 고물가로 가뜩이나 고통을 겪는 국민들에게 혹독한 우울감에 빠져들게 만들었다. 이에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역시 상승에서 멀어졌다.

이뿐만 아니다. 월동기 국민이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보일러 연료비가 폭등 수준으로 올랐다. 도시가스 요금은 물론, 겨울철 서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등유가격도 만만치 않게 급등했다. 현재 등유 가격은 주유소에서 휘발유(1천600원 안팎) 가격에 버금가는 1ℓ당 1천550원 정도로 1드럼(200ℓ)에 31만원으로 서민들에게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국민들 사이에 올라도 너무 올랐다는 말이 대세다. 봉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을 정도다. 밥상물가부터 소비성 높은 생활용품과 공공요금 인상까지 가세해 폭등수준 일색이라는 게 국민들의 볼멘소리다. 세계 경제 탓으로 돌리기에는 큰 상승 폭이다.

급격한 물가 상승은 소비자인 국민이 제일 먼저 피부로 느끼는 게 사실이다. 1년 넘게 상승 일변도인 소비자물가가 좀처럼 안정을 찾지 못하자 정부에 대한 원성의 목소리가 높다.

장기간 이어지는 코로나19의 악영향으로 소비생활 둔화와 물가 상승에 민감한 국민의 어려운 생활이 그대로 드러나 피로감은 최악이다. 물가잡기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생필품부터 밥상물가까지 국민들이 느끼는 물가 상승이다. 올해 1월부터 시작한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수그러들 기미 없이 5~6%를 유지하는 모양새다. 2022년 연말에도 물가와 공공요금 오름세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더구나 꺾이지 않는 고물가에다 공공요금과 금리 인상은 국민의 ‘고통지수’란 말이 나올 정도다. 국민의 숨통을 죄는 공공요금 인상에 은행 금리까지, 상승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조짐이다.

생활과 직결되는 세금과 공공요금 인상 억제는 국민들의 희망이다. 이제 천정부지의 물가 잡기를 위한 정부의 느슨한 대책으로 관리에 틈을 보여서는 안 된다.

국민의 삶에는 물가 안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가올 2023년 희망은 공공요금과 물가 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