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사람이 없어 홀로 쓸쓸히 살다가 죽음을 맞는 고독사가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가족화와 개인주의, 고령화 등에 따른 1인 가구의 가파른 증가세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시대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우리사회 복지 시스템의 문제이기도 하다.

보건복지부가 14일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고독사한 이가 3천378명에 달한다. 고독사는 가족·친척·지인·이웃 등과의 교류나 관계가 단절된 채 혼자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사망한 뒤 뒤늦게 발견되는 죽음을 가리킨다. 고단했던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누구의 관심도 돌봄도 받아보지 못하고 외롭게 임종했다니 가슴 아픈 일이다.

고독사 실태를 국가 차원에서 조사해 공식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5년을 보면 2017년 2천412명, 2018년 3천48명, 2019년 2천949명, 2020년 3천279명, 2021년 3천378명 등이다. 연평균 8.8%씩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 사망자가 여성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지난해의 경우 남성 사망자 수가 2천817명, 여성은 529명으로 5.3배 차이를 보였다. 연평균 고독사 증가율도 남성(10.0%), 여성(5.6%)보다 높았다.

특히 눈에 띄는 게 중장년층 남성 사망자의 비율이다.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중에는 80대 이상 고령자의 비중이 가장 크지만, 고독사는 50∼60대가 가장 많아 매년 50∼60%를 차지했다. 지난해 고독사 2건 중 1건 이상이 50∼60대 남성에게서 발생했다.

중·장년 남성들은 건강관리와 가사노동에 익숙지 못하다. 이혼·실직 등 가정이나 사회적으로 실패할 경우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떨어져 고독사가 많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독사 중 극단적 선택 비중은 17.3%인데 50대는 16.9%, 60대는 10.7%였지만 19세 이하는 100%였고 20대 56.6%, 30대 40.2% 등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50∼60대에 대한 고독사 예방 서비스가 시급하고, 청년층 고독사 예방 정책은 정신·심리지원 등 자살예방 정책과 적극적인 연계·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독사 예방 정책의 당위성이 나왔으니 서둘러 대책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할 일이다.

무연고 사망자의 증가는 1인 가구 증가세와 무관하지 않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16만6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했다. 2005년 20%대였던 것이 2019년 30%를 넘어서기 시작해 역대 최고치를 찍은 것이다.

세 집 걸러 한 집이 1인 가구라는 얘기인데, 이 중에는 무직자도 42%나 된다고 한다. 1인 가구 중 내 집을 가진 건 열 중 셋에 불과하고, 나머지 절반 가까이는 월세로 살고 있다.

통계청은 2050년에는 1인 가구 비중이 39.6%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고령화 흐름 속에서 혼자사는 노인도 늘어 2050년엔 고령자 가구의 41.1%가 1인 가구일 것으로 내다봤다.

고령화에 저출산, 비혼족 증가 등으로 1인 가구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추세다. 이에 대응한 맞춤형 대책이 없다면 고독사 증가도 막을 수 없다. 1인 가구가 사회적 고립을 당하지 않도록 경제적 사각지대 주민을 찾아내는 시스템을 정교하게 갖춰야 한다.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복지 서비스 확충과 더불어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가 연대하는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