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발생사건 중 57% 차지…4년 새 3.5배 급증
대처능력 저하 등 빈틈 노려…의심 시 신중해야

[충청매일 최재훈 기자]

62세 주부 A씨는 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범으로부터 ‘엄마 나 휴대폰이 파손돼서 급하게 휴대전화 보험금 신청해야 해. 엄마 명의로 대신 진행하게 도와줘’라는 메신저톡을 받았다. 이에 속은 피해자 A씨는 보이스피싱범으로부터 받은 메신저톡의 악성링크를 클릭해 원격조종 앱이 휴대폰에 설치됐다. 본인의 신분증 촬영본과 은행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전달했다. 보이스피싱범은 원격제어를 통해 A씨의 휴대폰에 설치된 금융 앱에 접속해 해당계좌 와 오픈뱅킹서비스를 통한 타행계좌 잔액을 모두 사기이용계좌로 송금해 총 2억6천700만원을 편취했다.

 

70세 자영업자 B씨는 금융회사 팀장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범으로부터 ‘저금리로 대출해주겠으니 신원 확인과 신용 조회를 위해 신분증, 카드, 계좌 등의 사진과 정보가 필요하다.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보낼 테니 설치해 개인정보 제공 절차를 진행해 달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피해자 B씨는 보이스피싱범이 알려준 악성링크에 접속해 개인정보를 입력했고 선납금 명목의 800만원을 사기이용계좌에 송금했다. 보이스피싱범은 이를 낚아채 잠적했다.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 대상이 고령층에 집중되고 있다.

보이스피싱이 고령층에 집중되는 배경에는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에 미숙하고 정보 수집과 순간적인 판단·대처 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점차 떨어지는 점이 꼽힌다.

2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보이스피싱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건수 중 60세 이상 고령층 피해 비중은 지난 2018년 16.2%에서 올해 상반기 현재 56.8%로 3.5배 급등했다. 이 기간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중 고령층 피해 비중은 22.2%에서 48.8%로 2배 넘게 급증했다.

고령층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2020년 7천746건에서 지난해 1만2천107건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상반기에만 8천650건이 발생했다.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수법은 문자메시지, 카톡 등으로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며 긴급한 사정을 이유로 개인정보나 금전이체 등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자녀가 부모에게 휴대폰 고장, 신용카드 도난·분실, 자동차 사고 등이 발생해 다른 번호로 연락한다는 수법이 대표적이다.

또 검찰과 경찰, 금융감독원 등 정부기관이나 금융사를 사칭해 자금이체를 유도하는 방식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보이스피싱은 고령층에 많이 나타나는 외로움, 공포, 친근감 등 심리를 이용한 지능화된 수법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에 대비한 예방과 대책은 부족한 상태여서 고령층이 보이스피싱에 걸리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실정이다.

은행권에서는 가족들만 아는 정보를 미리 암호로 정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연락이 왔을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정부 공공기관이나 금융사가 개별적인 연락으로 고객정보를 요구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라는 경우는 없으므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생하면 우선 연락을 끊고 자녀 등 가족과 직접 통화해야 한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 직후 가로챈 돈은 다른 조직원에게 곧장 전달되기 때문에 피해금 회수가 어려워 예방이 최선”이라며 “전화나 문자로 대환대출, 자녀납치, 검사 등을 사칭하며 돈을 요구는 경우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하고 신속히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