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으로 학교 수업이 정상화하면서 학교폭력 피해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물리적 폭력보다 언어폭력이나 집단따돌림 등 정서적 피해가 크다고 한다. 세태 변화에 맞는 학교폭력 대처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 초등 4학년∼고등 3학년 10만4천여명을 대상으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를 한 결과 1.7%(5만4천명)가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1년 1차 조사 대비 0.6%포인트,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실시된 2019년 1차 조사 대비 0.1%포인트 높아진 수치로 연속 증가 추세를 보여 우려스럽다.

저학년 일수록 학교폭력 피해가 많은 현상도 여전했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을 보면 초등학교 3.8%, 중학교 0.9%, 고등학교 0.3%로 모든 학교급에서 2021년 1차 조사 때보다 상승했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초 2.5%, 중 0.4%, 고 0.18%가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답했다

피해유형별로는 언어폭력(41.8%)이 가장 많았고, 신체폭력(14.6%)과 집단따돌림(13.3%), 사이버폭력(9.6%)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보다 집단따돌림, 사이버폭력 비중은 줄고 신체폭력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생이 중·고생보다 학교폭력 감지 민감도가 높은 것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해 보인다. 교육청에서는 “초등학생의 경우 발달단계상 장난이나 사소한 괴롭힘 등이 빈번히 발생해 이를 학교폭력으로 인식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런 식의 접근법으로는 제대로 된 해결방안이 나올 수 없다. 초등학교의 학교폭력이 상급학교로 이어지지 않도록 초등학생의 피해유형별 실태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맞춤형 예방책을 내놓아야 한다.

학교폭력은 어제오늘의 일도, 우리나라만의 문제도 아니다. 학생 간에 발생하는 괴롭힘과 폭력은 전 세계가 비슷한 현상이고 각 나라도 다양한 학교폭력 근절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완전한 해결은 되지 않고 있다. 학교폭력을 한방에 잠재울 묘수는 없다는 얘기다.

다만 사안 발생 후의 대처보다 예방에 초점을 둔 정책으로 효과를 보는 모양이다. 학교폭력은 크든 작든 일어나는 것이 현실이다. 사후 징벌적 조치만으로는 학교폭력을 근절시킬 수 없다. 바로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모두가 책임을 갖고 학교폭력 예방에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학교폭력 예방은 교육당국의 예산과 정책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범국민적 운동으로 추진될 때 확실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 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아이들의 현재도, 미래도 달라질 수 없다.

갈수록 늘어나는 학교폭력을 막기 위해 교육당국은 심리상담 등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유관 기관·단체 등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학교폭력 문제에 근본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