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창열 충북도 기후대기과 주무관

 

최원형 서울시 에너지정책위원회 위원이 쓴 ‘달력으로 배우는 지구환경 수업’에는 51개 세계 환경 관련 기념일이 소개돼 있다. 이 중 세계 참새의 날, 거북의 날, 수달의 날 등 특정 동물 등을 위한 기념일은 16개 정도가 되는데 5월 20일은 ‘세계 벌의 날’이다.

벌은 벌목에 딸린 곤충 가운데 개미과를 뺀 곤충을 통칭한다. 곤충 가운데 가장 큰 무리로 전 세계에 약 10만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 2천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류가 매우 다양해 몸길이가 1㎜가 안 되는 것부터 70㎜가 넘는 것도 있다. 벌의 입은 꽃가루를 수집하고 운반하기 알맞게 돼 있어 지구상의 수많은 꽃과 식물들은 벌에 의해 수분이 이뤄지고 있다.

●탄소흡수원을 늘리는 가장 작고 바쁜 기후행동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ion of the United Nations)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대 농작물 생산량의 약 70%의 수분을 꿀벌이 담당하고 있으며 전 세계 야생 식물 90%의 번식을 돕고 있다. 또한 꿀벌 한 마리가 하루에 무려 7천 군데의 꽃을 넘나든다고 하니 지구의 탄소흡수원을 늘리는 세상에서 가장 작고 바쁜 기후행동가라고도 할 수 있다.

●78억 마리의 실종 사건

봄꽃 개화기인 5월, 이맘때쯤은 벌통 주변엔 단내가 가득하고 반짝이는 꿀이 넘쳐나는 게 정상이다. 하지만 최근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벌통 안의 소비(직사각형 모형의 벌집틀)는 듬성듬성 비고 남은 벌들은 예민해져 공격성이 높아졌다고 한다.

충북도가 지난 3월 양봉농가 2천705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29.7%에 해당하는 804곳에서 꿀벌 실종 사례가 접수됐으며, 북부 지역 농가는 10~15%, 남부 지역 농가는 30%로 남쪽에 위치한 농가일수록 피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추산한 지난 겨울 월동 꿀벌 폐사 규모는 78억 마리로 명확한 사유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기후 위기로 너무 빨리 피고 지는 꽃 때문에 꿀벌이 굶주리게 된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세계 벌의 날 지정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슬로베니아

벌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세계 벌의 날’ 지정을 UN에 처음 제안했던 국가는 슬로베니아다. EU에서 유일하게 법적으로 벌을 보호하고 있으며 EU 최초로 벌에게 해로운 특정 농약 사용을 금지한 국가이기도 하다.

인구 200명 중 한 명꼴로 양봉을 하는 양봉 업계 강대국인 슬로베니아는 국제 식량난 해소에 있어 벌의 중요성도 중요성이지만 결국 본인들의 먹고사는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발 벗고 나선 것이다.

●탄소중립은 결국 먹고 사는 문제

지난 4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탄소중립은 한국 경제 걸림돌 아닌 도약의 기회’라면서 ‘탄소중립 편익이 비용을 앞서는 골든크로스를 위해 해법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한 80년 뒤 탄소중립 편익을 5천500조로 추산했다.

위기는 기회다. 탄소중립이 또 다른 기회가 되어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길 간절히 바라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