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명 시인

[충청매일] 충북예술고에 근무할 때의 일입니다. 무용과에서 국어 문법 수업을 하는데, 어쩌다 제가 이빨 얘기를 했더니, 수업을 듣던 학생 하나가 이빨이라고 하면 안 된다고 토를 답니다. 집이 어디냐고 물으니 서울 강남이라고 합니다. 강남에서는 그렇게 설명을 들었고, 실제로 그렇게 쓴다고 합니다. 사람의 이는 치아, 짐승의 이는 이빨이라고 한다는 거죠.

갑자기 1982년이 생각났습니다. 그때 군대에 있을 때인데, 이빨이 아파서 군의관에게 갔다가 얻어맞을 뻔했습니다. 이빨이 아프다고 했더니, 네가 짐승이냐고 호통을 치더군요. 상병 앞의 대위 계급장이 별보다 겁나게 보였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아마도 이때부터 이빨에 대한 오해가 진행된 모양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 말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군대에 가기 전까지 우리 동네 사람들은 치아란 말을 써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 동네 사람들은 모두 이빨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우리는 몰상식한 사람이 된 것입니다. 이것을 제가 어찌 받아들이겠습니까?

그래서 학생에게 그건 잘못된 일이고, 국어교사인 내가 말하는 것이니, 집에 가거든 어른들을 설득해서 이빨이라는 말이 좋은 우리말이라고 교육시키라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그럴 리가 없다고 합니다. 국어 선생님의 말을 못 믿는 너희같은 놈들을 어찌하면 좋으냐고 탄식을 했더니, 그러면 인터넷을 검색해보라고 합니다. 그래서 책상위의 노트북을 잡아당겨서 네이버 사전에 ‘이빨’을 쳐넣었습니다. 그랬더니 이런 화면이 뜹니다.

이빨

[명사] ‘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아하! 이래서 자꾸 사람들이 그런 개소리를 하고 다니는구나! 하는 깨달음이 왔습니다. 도대체 이놈의 한글학자놈들을 어찌하면 좋단 말입니까? 집에 돌아와서 양반집 출신인 우리 어머니 평강 채 씨에게 이것을 여쭈었습니다. 그랬더니 우리 어머니가 이렇게 대답을 하십니다.

“옛날에 어른들한테는 이빨이란 말을 안 썼어. 치아란 말을 썼지. 아마 어른들한테 쓴 말일 게야.”

이말을 듣고서 제 머릿속이 환히 밝아왔습니다. 존칭어와 비칭어를 국어학자들조차 헛갈려하는구나 하는 탄식이 절로 나왔습니다.

우리말에는 어른들에게만 쓰는 말이 있습니다. 어른들과 대화를 할 때는 집이란 말을 쓰지 않습니다. 댁이라고 하죠. 마찬가지로 술이란 말을 쓰지 않습니다. 약주라고 하죠. 나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춘추라고 하죠.

그렇다면 거꾸로 묻겠습니다. 만약에 친구들에게 댁, 약주, 춘추란 말을 쓸 수 있을까요? 한번 더 뒤집어 얘기하면, 댁, 약주, 춘추라는 말이 존칭이라면 그와 짝을 이루는 집, 술, 나이가 비칭인가요? 도대체 이것을 구별하지 못하는 자들이 국어정책을 입안하고 사전을 만든다는 사실을 저는 도저히 믿을 수가 없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