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충청매일] 자치통감(資治通鑑)은 송나라 때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고대 역사서이다. 기원전 403년 진(晉)나라가 한, 위, 조로 나뉘고부터 960년 오대십국 후주(後周)의 세종까지 1362년간의 기록을 1년 단위로 서술하였다. 여기에는 실록뿐만 아니라 야사도 포함하여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혀 정치의 규범으로 삼았다. 자치통감이란 이름은 정치의 자료가 되고 거울이 된다는 함축의미가 있다. 오늘은 그중에 법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장강(長江)은 양자강(揚子江)이라고도 불리며 대륙의 중앙을 가로질러 흐르는 아주 긴 강이다. 길이가 무려 6천300km에 이른다.

옛날 장강에 커다란 용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 용의 이름을 법(法)이라 불렀다. 비가 오고 천둥이 치는 날이면 용의 울음소리가 백리 밖에서도 들릴 정도였다. 그러니 사람들이 용을 무서워하여 감히 장강 가까이 다가가지 못했다. 하지만 장강은 멀리 있고 용은 또 물 밖으로 나온 적이 없으니 용으로 인해 다치거나 죽거나 한 사람이 없었다.

대륙의 강남은 사계절이 따뜻하여 사람들이 살기 좋은 땅이다. 또 기름진 지역이라 좋은 귤밭이 많았다. 해마다 귤은 풍성했고 맛도 뛰어났다. 그런데 그 귤밭 한가운데 작은 웅덩이가 있었다. 그 웅덩이 안에는 여러 물고기가 살고 기()라는 사나운 물뱀도 살았다. 기는 웅덩이 속에서 가만 숨어있다가 사람이 지나가면 뛰쳐나와 다리를 물었다. 그렇게 다리를 물린 사람들은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했고 부상으로 큰 고생을 하기도 했다. 기를 무서워하여 사람들은 그 맛있는 귤을 편히 따먹을 수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을 괴롭히는 기를 법이라 불렀다.

그런데 기는 신기하게도 동물들이 지나가면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다. 그걸 본 사람들이 물뱀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여겨 웅덩이를 지나가면 갑자기 나타나 다리를 물었다. 오로지 사람만을 공격하는 참으로 이상한 물뱀이었다.

장강에 사는 용은 그토록 오래 있어도 사람들이 다치지 않았다. 이는 사람들이 용을 두려워하여 가까이 다가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건드릴 이유가 없었다. 건드리지 않으니 용도 사람을 건드리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기는 볼품없고 크기도 작은 물뱀인데 사람들이 왜 다치는 것일까? 이는 숨어서 사람들을 해치기 때문이다. 나중에 사람들은 법은 몰래 해치는 것을 당연하다고 여겼다. 하지만 사람들은 법이 무서워도 먹고 살아야 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은 물려도 자신은 물리지 않는다는 요행이 생겼다. 그 요행으로 웅덩이를 건너니 모두 물뱀을 만났다. 기()라는 글자에는 숨어서 몰래 다리를 잡아당긴다는 뜻이 담겼다. 속임수를 써서 뒤통수를 친다는 의미가 여기서 나왔다.

유치인무치법(有治人無治法)이란, 세상을 잘 다스리는 것은 사람에게 달린 것이지 법에 달린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법은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피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법이다. 그렇지 않고 웅덩이에 사는 물뱀처럼 갑자기 나타나 사람을 무는 법이면 그건 잘못된 법이다. 항간에 법을 제멋대로 구부려 자기 식구들은 보호하고 다른 사람은 괴롭히는 이가 있다고 한다. 그러니 좋은 지도자를 뽑는 이유가 바로 법을 공평하게 집행하기 위해서이다.

 aionet@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