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내과 원장

 

두드러기는 임상적으로 매우 흔히 관찰되는 피부질환으로 사람의 일생 중 두드러기를 경험하는 비율은 15~20%에 이른다고 한다. 두드러기의 주 증상인 팽진(wheal)은 피부 또는 점막의 진피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부종이며 혈관 확장반응의 결과로 발생한다. 개개의 병변은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드물며 만약 두드러기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자반증을 남기는 경우는 두드러기성 혈관염을 의심해야 하며 진단을 위해 별도의 검사가 필요하다.

두드러기는 지속시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일 또는 수 주간 지속한 후에 완전히 소실되는 경우를 급성 두드러기,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두드러기라고 한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여러 유발 물질이나 물리적 요인에 의해 비반세포(mast cell)와 호염구(basophil)에서 히스타민이 분비돼 혈관 확장을 유발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발생기전에 따라 면역학적 기전과 비면역학적 기전 그리고 물리적 요인에 의한 두드러기로 나눌 수 있다.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두드러기는 원인 물질의 항원에 반응하여 IgE 항체나 보체(complement) 매개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백신이나 벌침, 혈청, 각종 음식물, 세균이나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 기타 화학물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두드러기는 원인 물질이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고 직접 비반세포(mast cell)에 작용하여 히스타민을 유리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방사선 조영제, 몇몇 음식들(딸기,생선,과일 등), 뱀이나 곤충, 식물의 독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물리적 요인에 의한 두드러기에는 피부묘기증, 일광두드러기, 한랭두드러기 및 콜린성 두드러기가 있다. 피부묘기증 환자는 피부를 긁은 후 수 분 내에 그 부위에 국한된 부종과 발적이 발생한다. 정상인의 5% 정도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원인은 대개 미상이지만 감염증, 전신질환, 정서불안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일광두드러기는 햇빛이나 특정한 파장의 인공광선에 노출되면 수 분 내에 두드러기가 발생해 소양감과 홍반을 동반하며 대개 1시간 내에 소실된다. 한랭두드러기는 추위에 노출됨으로써 유발되며, 노출 부위를 주로 침범한다. 심하면 호흡곤란과 실신 같은 전신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이러한 환자들은 찬물에서 수영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열, 운동 또는 감정 변화 등에 의해 유발돼 1~2mm크기의 작은 팽진 주위로 1~2cm정도의 홍반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며 대개 30~60분내에 소실된다. 

두드러기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을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이지만 원인을 밝히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치료제를 사용하게 된다. 많은 환자에서 히스타민이 두드러기 생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항히스타민제가 주 치료제가 되며 두드러기가 심해서 호흡곤란등의 전신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교감신경 항진제인 에피네프린을 피하주사 하기도 한다. 항히스타민제에 저항을 보이는 급성 두드러기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제를 단기간 사용하기도 한다.

만성두드러기의 경우에는 두드러기의 발생과 계절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음식물 및 약물, 물리적 활동과의 관계등을 상세히 조사해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를 꾸준히 복용하면서 기다리다보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희망을 잃지 않기를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