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명 시인

국어교육과를 다닌 제가 대학에서 배운 ‘국어음운학’은 지은이가 허웅 선생이었습니다. 책의 목차를 보면 모조리 우리말이었습니다. 터짐소리, 안 터짐소리, 붙갈이소리, 두들김소리……. 뭐, 이런 식입니다. 읽기만 하면 그대로 그 뜻이 와닿는 말들입니다.

다른 문법책을 보면 딴판입니다. 우리 문법을 가리키는 모든 용어가 한자입니다. 예컨대 <닿소리, 홀소리>부터가 <자음, 모음>이죠. 품사를 나타내는 말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름씨, 대이름씨, 그림씨, 움직씨, 토씨가,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조사라고 나오죠.

이렇게 된 것은 한글학자들의 열등감 때문입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 일제 강점기에 일본경찰의 혹독한 고문까지 겪으며 한글을 지킨 사람들은 ‘조선어학회’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정말 우리말을 목숨 걸고 지킨 사람들이었죠. 실제로 조선어학회 사건 때 두 명이 옥중에서 순국합니다. 이런 처절한 저항을 통해 우리 문법의 체계를 다듬고 지켜왔습니다.

그리고 해방이 되었습니다. 이념에 따라 남북으로 딱 갈리었죠. 이때 남한을 버리고 북조선으로 간 학자들이 있습니다. 조선어학회의 대부분이 북으로 넘어갔고, 북한의 국어체계를 세우는 데 기여했습니다. 반면에 남한에 남은 학자들은 북으로 간 학자들에 비해 숫자가 굉장히 적었습니다. 이들도 남한의 국어체계를 세워야 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서 이미 시작한 것을 그대로 따를 수는 없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문법체계의 용어를 모조리 한자말로 바꿉니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마주치는 국어입니다. 이것을 진두지휘한 인물이 서울대 교수 이희승입니다.

남한에 남은 사람들이 모두 이런 방법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최현배 교수의 경우에는 순우리말 쓰기를 집착에 가까울 만큼 주장했죠.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전국의 강단에서 적잖이 자리 잡고 순우리말 문법을 가르쳤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곧 강단에서 사라집니다. 서울대 중심의 문법체계가 제도권에 자리잡고 각 지역대학의 교수들도 서울대 출신과 그 아류들로 채워짐으로써 순우리말 문법 용어는 달나라의 언어가 되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오늘날의 한자말 문법 용어는 북한을 의식한 남한 학자들의 결정이었고, 이것은 남과 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갈 것을 전제로 해서 한 ‘짓'입니다. 하지만 60년이 지난 오늘 돌이켜보면 이런 짓은 정말 어리석은 짓임이 드러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언젠가는 통일 문법을 만들어야 하거든요. 해방 직후에 그냥 조선어학회에서 하던 체계를 그대로 썼으면 남북한이 언어체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남한 측에서 이런 말도 안 되는 짓을 벌임으로써 남과 북은 아주 많이 다른 국어체계를 지니게 되었고, 결국 그것을 조정하기 위해서 또 다른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어떤 때는 지식인들이 백성들만도 못할 때가 있는데, 바로 이 때가 그러했습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이 용어를 가르치다 보면 아이들이 한자 말을 얼마나 어려워하는지 절절히 느낍니다. 이희승이 문법 용어를 한자말로 하자고 생각했을 때만 해도 세상 사람들은 한자에 대한 이해 수준이 아주 높았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아이들에게 한자란 제2외국어에 지나지 않습니다. 영어가 제1외국어이고, 아랍어 스페인어 독일어 같은 것이 제2외국어입니다. 그러니 제2외국어로 사용되는 우리말의 문법 용어 앞에서 아이들이 당혹스러워하다가 절망스러워합니다. ‘관형사'가 도대체 무슨 뜻이냐는 겁니다. 낱말 앞에서 갓처럼 씌워서 제한해주는 말이라고 해도 ‘갓'이 낯선 아이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듭니다. 이런 상황을 마주치면 이희승을 부관참시하고 싶은 분노가 슬그머니 치밀어 오릅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