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우리나라는 ‘인재(人災) 공화국’이라 할 정도로 크고 작은 인명 피해 사고가 잦다.

이에 대한 입증은 지난 1994년 6월 29일 발생한 서울 성수대교 사고를 꼽지 않을 수 없다. 건설업체의 정·경 유착에서 비롯된 사회적 부정·부패가 참사의 원인으로 드러났다.

건설사의 부실공사와 감리담당 공무원의 부실감사가 붕괴 사건의 발단이 됐다는 지적이 나와 국민적 공분을 산 사건으로 회자돼 왔다. 정부의 미흡한 안전검사도 사고 배경에 한몫했다.

이 사건으로 출근과 등교를 위해 시내버스에 타고 있던 시민 49명이 버스와 함께 한강으로 추락, 그 가운데 32명이 사망, 당시 사회적 파장이 컸다.

이렇듯,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엄청난 인명 피해의 백화점 붕괴 참사가 터졌다. 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로 인해 50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최대 참사다.

1989년 12월 지상 5층 지하 4층 초현대식 건물로 지어진 삼풍백화점은 말 그대로 부실투성이 건축으로 지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국민들에게 충격을 안겨줬다.

총체적 안전불감증은 이뿐만 아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참사 역시 사망자 192명 등 340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화재참사로 꼽힌다. 이때 지하철 공사 관계자들의 무책임하고 서툰 대처능력과 직원들의 허술한 위기 대응 등 전반적인 안전망의 허점과 정책 오류가 참사를 키운 ‘인재’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또 해상에서 발생한 대형 참사는 30여년이 지났어도 국민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110t급 서해훼리호 침몰사고다. 1993년 10월 10일 전북 부안군 위도 파장금항을 떠나 부안 격포항으로 향하던 여객선 서해훼리호가 돌풍을 만나 침몰하면서 292명이 사망하는 큰 참사다.

7년 전 발생한 세월호 참사 역시 국민은 경악시킨 대형 해상사고였다. 2014년 4월 16일 인천항을 출발, 제주도로 향하던 세월호가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시 단원고 학생을 포함한 304명이 안타깝게 희생돼 국민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2017년 12월 24일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에서 29명이 생명을 잃었다. 안전을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은 공사관계자의 안일한 행동이 많은 인명 피해로 이어졌다.

광주시 동구 학동의 건물해체 중 참사도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됐다.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고 건물해체 작업 중 붕괴로 이어져 엉뚱한 시내버스 승객 9명이 생명을 잃었다. 시민들의 반응은 안전을 지키지 않아 이미 예견된 참사라는 지적의 말을 쏟아냈다.

국민의 생명은 소중하다. 이런 총체적 안전불감증 사고는 공사현장의 후진국 티를 벗어나지 못하는 사고여서 하루빨리 없어져야 할 문제다.

국민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와 관련 업체 등 공사현장 관리 감독자들은 안전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하는 이유다. 안전관리에 대한 태만과 무시는 엄중한 법률로 다스려 국민의 생명을 지켜주는 데 나태한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지상과 해상 어느 곳도 완벽하게 안전한 곳은 없다. 차량 운전자는 교통안전을, 공사 현장 관계자와 업체 노동자는 현장의 안전 수칙을 의무적으로 지키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번 광주의 참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안전불감증에 따른 인명 피해, 이제는 끊어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