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명 시인]훈민정음이 나오기 전에는 한문으로 쓰는 것이 문자 생활의 바탕이었습니다. 그리고 문자라는 게 어차피 지배자들이 수단이자 장치이기 때문에 피지배층으로서는 그토록 중요하거나 절실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다만 멀리 사는 피붙이에게 소식이나 전했으면 좋겠다는 그런 정도의 필요였습니다.

그런데 세종이 굳이 그런 쓰임을 앞세워 새로운 문자를 만들려고 했을까요? 그게 과연 훈민정음 창제의 참 목적이었을까요?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학교를 다니고 국어를 배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누구나 알 것입니다. 하지만 잘 기억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어린 백성만을 생각한 게 아니었다고? 그렇습니다. 세종에게는 사실 어린 백성들보다 훨씬 더 중요한 문제가 눈앞에 있었습니다. 바로 중국어 발음표기입니다. 중국어를 우리가 배울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고민은 중국어가 우리말과 달리 4성 체계라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액센트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말에는 거의 없죠. 세종의 시절에는 우리말에 억양이 많이 사라집니다.

오늘날 이 억양을 우리는 사투리에서 느낄 수 있는데, 특히 경상도 지역의 사투리가 그렇습니. 전라도 사투리만 해도 꼬리 부분에 조금 남았고, 서울 사람과 대화를 하면 크게 의사전달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경상도 사람과 얘기하면 의사전달의 효과가 심각해지죠. 잘 못 알아듣거나 발음이 엉뚱하여 이상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낱말이 달라서 그런 것도 있지만, 억양 때문에 이 점이 심각합니다.

말하자면 세종 때의 시절에는 서울 지역의 말이 경상도 말보다 조금 더 억양이 부드러워진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굳이 억양을 감안 하지 않아도 뜻을 전달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는 말로 자리 잡은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어는 다릅니다. 똑같은 낱말이라도 억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뜻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입니다. 바로 이 점을 조선으로서는 정확히 이해할 방도가 없었던 것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그냥 두고 볼 세종이 아니었고, 팔을 걷어붙이고 음양오행의 원리로 새로운 글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내는 것까지는 좋은데,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보급하느냐 하는 점입니다. 이 새로운 문자를 보급할 정당한 이유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정치이죠. 예상대로 신하들은 엄청난 반발을 합니다. 그 반발의 핵심은 황제 통치 체제의 이념에서 어긋난다는 것이죠. 즉 새로운 문자 제정은 중국 황제 체제에 반역을 하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지금 보면 어처구니없는 주장이겠지만, 이게 중국의 콧김에도 대청마루가 들썩이던 조선 시대라면 사정이 다를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신하들의 이런 예상되는 반론을 한 방에 눌러버릴 주장이 필요해진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훈민정음을 만든 가장 중요한 원인이면서도 오늘날 사람들이 잘 기억도 하지 못하는 그런 내용이 되었죠. 바로 중국음의 정확한 기록이 그것입니다.

훈민정음은 어린 백성을 위한 것이기보다는, 무질서한 중국 문자의 음을 우리가 정확히 알고 기록하기 위하여 만든 글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실제로 ‘동국정운’이라는 음운 책을 만듭니다. 한자음을 정확히 기록하려는 조선 측의 고민이 담긴 책입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