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충청매일] 최근 정부가 공공의대 학생 선발과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 등의 추천을 받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큰 논란을 빚었다.

시민단체의 ‘사회적 권력’ 척도를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의료계의 총파업 타결을 위한 집권여당과 대한의사협회간 합의를 비판하는 시민단체의 주장도 같은 맥락이다.

“공공의료 관련 정책은 시민단체와 협의해야지, 의사단체와 정부가 결정할 일이 아니다.”

참으로 기가 막힌 일이다.

정부의 모든 정책에 대해 자신들의 ‘윤허(允許)’를 받으란 말인가. 도대체 어떤 법률적·사회적 근거와 대표성·전문성을 토대로 하는가.

충북지역에서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자치단체 등의 정책 추진 과정에서 시민단체는 마치 ‘상왕(上王)’ 노릇을 한다.

자신들의 관점과 주장에 맞지 않는 정책이나, 기관·단체의 부조리, 반대 진영 등에 대해선 떼지어 앞장서 공격한다.

그러나 정작 자신들의 부정과 위법에 대해선 관대하거나 침묵한다.

얼마전 청주두꺼비공원 등을 위탁 운영한 (사)두꺼비친구들이 예산을 부적정하게 집행한 사실이 드러나, 청주시는 해당 예산에 대한 회수를 통보했다.

그러나 이 시민단체는 몇 달이 지나도록 반납은커녕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조차 내놓지 않고 있다.

보조금 관련 부정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앞장서 비난하며 사법처리를 촉구하던 시민단체들은 유독 이 단체에 대해선 조용하기만 하다.

무슨 사회적 이슈만 생기면 그 실체조차 알 수 없는 ‘연대’를 만들어 ‘힘자랑’을 하던 시민단체들이, 어찌 그 ‘연대’에 자주 등장하던 이 단체의 부정에 대해선 침묵하고 눈감고 있는가.

그 ‘연대’의 주도단체 중 하나인 충북청주경실련의 조직내 성희롱 문제에 대해서도 침묵하긴 마찬가지다. 상급단체인 중앙 경실련이 직접 나서 이 단체의 모든 임직원의 직무를 정지시키고 문제 해결에 나섰음에도, 시민단체들의 비난과 비판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 같은 시민단체의 행태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내팽개친 채, 편향적이고 독선적이고 자기권력적인 자신들의 민낯을 드러낸 셈이다.

남들보다 스스로에게 더욱 엄격한 것은 물론 모든 사안에 대해 공정하고 객관적일 때, 말 그대로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를 얻는 ‘시민단체(市民團體)’가 될 수 있는 법이다.

정치적 이념과 진영 논리에 찬동하는 몇몇들이 모여 권력화하는 ‘시민단체(豺民團體)’를 벗어나려면 자신들에 대한 비판도 겸허히 수용해 개선할 줄 알아야 하며, 자기 편의 부정과 비리에 대해서도 엄격히 비판할 줄 알아야 한다.

그때야 비로소 시민들로부터 온전히 ‘시민단체(市民團體)’라는 이름을 허락받을 수 있음을 깨닫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